본과 3·4학년 맞춰 추가 국시 운영 가능성 검토 중
교육부는 25일 유급 대상으로 지정된 전국 의대생 8000명의 2학귀 복귀를 허락하고 본과 3·4학년의 의사 국가시험 응시를 위한 추가 시험을 여는 내용의 ‘의대생 복귀 및 교육에 대한 정부 입장’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이번 결정이 의과대학선진화를위한총장협의회의 의대교육 정상화 입장을 존중한 결과라 설명했다. 의총협은 전국 40대 의대 총장들의 모임으로, 의총협은 앞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이사장 이종태)와 논의해 1학기 유급 대상 의대생 8000명의 2학기 수업 복귀를 결정해 25일 정부에 입장문을 전달했다.
교육부의 결정에 따라 대다수의 의대가 1년 단위 학사 과정을 학기별로 변경해 유급 학생들의 복귀를 허용할 계획으으로 알려졌다. 의총협은 미복귀 의대생의 2학기 수업 수강 시 학년별 구분 교육과 방학을 이용한 미이수 학점 이수 등을 병행할 예정이다.
교육부와 의총협은 이를 통해 예과 및 본과 1·2학년 의대생은 정상 진급하고, 임상실습 중심의 수업으로 구성된 본과 4학년은 정상 졸업보다 약 6개월 뒤로 밀린 내년 8월 졸업할 것으로 보인다. 단, 본과 3학년의 졸업 시점은 각 학교별 임상실습 기간의 차이를 고려해 오는 2027년 2월과 8월 중 대학이 자율적으로 선택하기로 했다.
또한, 정부는 현재 본과 3·4학년의 의사 국시 추가 실시를 고려 중이다. 의총협은 “학사 운영이 원활하도록 정부와 대학은 함께 학사 운영 지침을 마련하고, 대학별로 학칙 등을 개정한다”며 “다만 올해 1학기 수업 불참자의 학사행정처리는 각 대학별 학칙에 따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정부의 결정으로 유급생 복귀를 위한 학칙 변경 및 교육연한 단축 등의 조치가 진행되며 일각에서는 특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