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쁜 동시에 사명감, 무거운 책임 느껴”
정은경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취임사를 통해 의정갈등 장기화로 인한 의료체계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등을 약속했다. 정 신임 장관은 이와 함께 비대면 진료 제도화·일차의료체계 구축 등도 함께 언급했다.
정 신임 장관은 지난 18일 인사청문회를 거쳐 22일 이재명 정부의 첫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부임했다.
그는 취임사에서 “기쁜 마음과 동시에, 사명감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은 지금 중대한 위기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장기화된 의정갈등, 지역·필수·공공의료 위기, 초고령화에 따른 돌봄 수요 증가와 세계 최고 수준의 노인빈곤율과 자살률 등 보건복지부가 해결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틈 없이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돌봄 국가책임 강화 △국민 중심 보건의료체계 구축 △미래 보건복지 강국 도약 기반 마련을 과제로 제시했다.
먼저, 정 신임 장관은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제공할 계획임을 밝혔다. 그는 “요양병원 간병비에 건강보험을 단계적으로 적용해 간병에 대한 공적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주장했다. 이어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조기 발견과 개입을 강화하는 한편,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와 장애인 공공일자리 등 장애인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도 강조했다.
나아가 국민과 의료계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국민 중심 의료개혁’을 추진해 적시에 진료를 제공하고 체계의 지속가능성도 확보하겠다 밝혔다. 정 신임 장관은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도입해 적정인력 규모에 대한 과학적 추계를 시행하겠다”며 “지역·필수·공공 의료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충분한 보상도 하겠다”고 발언했다.
또한, 국립대병원 업무를 보건복지부로 이관해 지역 내 공공·필수의료 컨트롤타워로 육성하고 환자 안전성·편의성 모두를 보장하도록 비대면진료를 제도화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정 신임 장관은 “지역사회 기반 일차의료체계를 구축하고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겠다”며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성장 체계 구축을 위해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지원하고, 의사과학자 전주기 양성 체계도 확립하겠다”고 발언했다.
정 신임 장관은 이밖에 △국회 연금개혁특위 논의 적극 참여·지원 △난임·임산부 심리·정서지원 강화 △가임력 검사비 지원 등도 함께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보건복지부가 존재하는 이유는 국민 삶의 기본인 건강과 복지를 지키는 것”이라며 “국회, 전문가, 이해관계자 등과 소통에 기반한 신뢰를 구축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항상 경청하자”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