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사 및 동정] 6월 11일
[오늘의 인사 및 동정] 6월 11일
  • 의사신문
  • 승인 2025.06.11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대현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국제아토피피부염 서밋 서울 우수포스터상 수상

김대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피부과 교수가 지난 5월28일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가 주최한 ‘국제아토피피부염 서밋 서울 2025(International Atopic Dermatitis Summit Seoul 2025)’에서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김대현 교수는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표피 신경분포를 분석한 연구 ‘3-Dimensional optical clearing and imaging of epidermal innervation in pruritic atopic dermatitis’를 통해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의 피부 신경 구조를 3차원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정상군에 비해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의 신경 구조 관련 지표들이 두드러지게 감소하고, 단순화되는 등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 이는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가려운 부위에서 피부 신경이 증가해 있을 것이란 기존의 가설을 반박하는 결과로, 난치성 가려움증 치료에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대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보다 발전시켜 가려움으로 고통받는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치료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교수, 대한골대사학회 최우수 구연상 수상

김경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교수가 지난 5월29일부터 31일까지 서울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대한골대사학회 국제학술대회 ‘제13차 Seoul Symposium on Bone Health(SSBH 2025)’에서 '최우수 구연상(Presidential Award)'을 수상했다.

김경진 교수는 노년층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고관절 골절이 단순한 부상을 넘어 장기적인 기대여명과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규명한 연구 ‘Long-Term Impact of Hip Fractures on Life Expectancy’를 통해 이번 수상의 주인공이 됐다.

이번 연구는 대한골대사학회 역학위원회(이사 용인세브란스 김경민 교수, 간사 고려대학교 김경진 교수)에서 수행됐으며, 2010년부터 2018년까지 고관절 골절을 경험한 50세 이상 환자 3만9천여명과 동일한 연령 및 성별의 대조군 7만3천여명을 비교 분석했다. 

이를 통해 고관절 골절이 기대여명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고관절 골절을 경험한 환자는 모든 연령대에서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특히 고령층에서는 기대여명이 큰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주목할 점은 70~79세 연령대에서 고관절 골절을 경험한 환자가 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군 대비 2~3년의 기대여명 감소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령대에서의 2~3년의 수명 감소는 매우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이번 연구 골절 직후의 단기적인 사망률뿐만 아니라 장기 생존 영향까지 고려한 분석했다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녔다고 할 수 있겠다. 이는 고관절 골절의 예방과 더불어 골다공증 치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력하게 부각시키는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김경진 교수는 “연령 증가에 따라 골다공증과 골절 위험이 높아지는 현실을 고려하면, 고관절 골절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