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순위 손상 문제와 생애주기별 손상 문제 등 종합계획 수립 방향 논의
종합계획(안) 보완 거쳐 9월 말 국가손상관리위원회 의결 후 발표 예정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2일 오후 2시 서울글로벌센터(서울시 종로구 소재)에서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손상’이란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인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또는 그 후유증을 말한다. 23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전체 사망원인 중 손상이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4위에 해당하며 45세 미만에서는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손상은 감염성 질환, 만성질환 등 다른 질환에 비해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점, 사망률과 장애 발생률이 특히 높다는 점에서 사전 예방과 체계적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손상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6조에 근거해 연구용역 추진, 전문가 자문회의,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손상 관리 추진 방향과 주요 과제 등을 담은 ‘손상관리종합계획’ 기본안을 마련했다.
종합계획 기본안은 ‘손상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라는 비전 아래 손상의 전 과정(예방-대응-회복)을 연계한 정책 설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관리 과제로는 발생 빈도가 높아 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할 손상 문제와 생애주기별로 증가 추세이거나 높은 부담을 초래해 관심이 필요한 손상 문제를 선정했다. 또한 △손상예방관리 조사 연구 활성화 △우선순위 손상 기전별 위험요인 관리 △생애주기별 맞춤형 손상예방 △손상 대응 및 회복 지원 강화 △손상예방·관리 기반 조성의 5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이 날 공청회는 질병관리청이 연구용역과 관계부처 협의 등으로 마련한 종합계획(안)에 대해 학계 전문가와 관계 기관 등이 참여한 의견 수렴 및 질의응답 등이 진행됐다.
임승관 청장은 “손상은 우연한 사건이 아닌 예방 가능한 건강 문제”라며 “오늘 공청회에서의 의견을 바탕으로 범정부 차원의 향후 5년간 손상관리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해 손상 발생 이전부터 이후까지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예방·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이번 공청회를 통해 제기된 의견을 관계부처와 함께 적극 검토해 종합계획(안)을 보완하고 국가손상관리위원회(위원장: 질병관리청장)의 심의·의결을 거쳐 9월 말 종합계획을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