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는 지난 29일 오후 2시에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 2025년 제2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위원장 공구 한양의대 교수)는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9조에 따라 수탁기관 인증여부, 질 가산율 변경 및 그 외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에 대해 심의하는 복지부 장관 소속 위원회이다.
위원장과 함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대한병리학회 △대한핵의학회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한국검체검사전문수탁기관협회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이 논의에 참여한다.
이번 회의는 지난 7월 진행한 1차 회의에서 위수탁 제도 전반의 개선방안 마련을 추진하기로 한 것의 후속 조치로,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그간 검체검사 위·수탁은 현행 고시 규정과 달리 기관 간 개별계약·상호정산이 이뤄져 검사료 할인·담합 등 불공정 계약과 과잉 가격경쟁, 이로 인한 검사 질 저하, 환자 안전 위협, 보상체계 왜곡 문제 등이 이번 국정감사를 비롯해 여러 차례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복지부는 현재의 위탁기관 검사료 일괄청구·상호정산 관행을 고시에 부합하도록 위·수탁기관 분리청구·지급 방식으로 개편하고, 검사료 등과의 보상 중첩 문제가 제기되는 위탁검사관리료를 폐지하며, 검사료 내에서 배분 비율을 설정하는 방안을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검사 질 관리 강화를 위해 수탁기관 인증기준 개선, 질 가산 평가 강화, 재수탁 제한과 함께 검체 변경 등 환자 안전사고 예방·관리 및 제재방안 등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했다.
정부에 따르면 논의에서 한국검체검사전문수탁기관협회는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개선에 대해 현재 검사료 할인이 과도한 상황으로, 시장 질서로 바로잡기는 불가능하며 이를 제한하는 강제력 있는 고시 규정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대한병리학회·대한핵의학회는 검체검사는 명백한 의료행위로서 할인 행위가 이뤄지는 것은 부적절하며, 분리청구·지급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개선 방향에 동의했다.
특히, 대한진단검사학회는 추후 검체수거·운송비용에 대한 보상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병리학회는 병리검사 특성을 감안해 배분 비율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더했다.
대한의사협회·대한개원의협의회는 배분 근거 마련 등을 위해 의료계와 충분한 논의를 거칠 것을 요청하며, △일차의료기관의 재정적 영향 △분리 청구 시 환자 개인정보 제공동의서 청구 및 개인정보 유출 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는 설명이다.
검체검사 질 관리 강화에 대해서는 위원들이 정부의 개선방향에 동의하며, 세부적인 방안은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다만, 재수탁은 제한할 필요성은 있으나, 검사 현장의 현실을 고려해 예외적으로 허용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공구 위원장은 “검체검사 위수탁은 국민의 건강권 차원에서 투명성· 공정성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으며, 검사의 질관리 향상과 함께 위수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료와 직접 관련 없는 비용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공인식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지불혁신추진단장은 “보다 안전한 환자 진료를 위해 건강보험 위수탁 검사의 공정한 보상체계 이행과 질 향상 제도 강화가 시급하며, 분리청구·지급방안 등은 의료계 의견을 수렴해 의료현장의 혼선이 없도록 사전 준비를 충실히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