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쉬테크놀로지, 미니쉬코스 미국 현지 첫 개최···북미 진출 본격화
미니쉬테크놀로지(대표 강정호)는 27일 미국 현지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열린 ‘제15회 미니쉬코스’를 통해 수료생 22명을 배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코스는 지난 24일부터 3일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 비타 노스 아메리카(VITA North America) 교육장에서 열렸다. 미국 치과의사 보수교육(Continuing Education)으로 인정받는 이번 과정은 현지의 다른 교육 프로그램보다 50%가량 높은 수강료에도 조기 마감되는 등 큰 관심을 모았다.
미니쉬코스는 치아 복구 솔루션인 ‘미니쉬’의 철학과 이론을 비롯해 △프렙 △스캔 △본딩 △교합 △세팅 실습 등의 커리큘럼으로 운영됐다. 이 과정은 미니쉬를 활용한 치료를 하는 ‘미니쉬닥터’를 양성하고 프로바이더 치과를 확대하기 위해 2022년부터 시작됐다. 15회까지 누적 수료생은 342명이다.
필립 타가탁 원장(인랜드 덴탈아츠·캘리포니아주 샌버나디노)은 “진료 뒤에 과학적 근거가 있다는 점이 좋았다”며 “평소 비니어(Veneer) 진료를 많이 하고 있는데, 미니쉬는 최소 침습적이라는 측면에서 환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치료 옵션이 생겨서 기쁘다”고 말했다.
앨버트 리 원장(조지아 덴탈 임플란트 센터·조지아주 애크워스)은 “강사진이 많고 소그룹으로 운영돼 1대1 강의를 듣는 것 같았다”며 “전반적으로 강의와 실습 모두 너무 훌륭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미니쉬코스로는 처음으로 해외에서 진행됐다. 앞서 일본 도쿄, 미국 비버리힐스에서 미니쉬 임상 세미나가 열린 적은 있지만 현지에서 실습과정을 포함한 정규 교육이 진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은 현지 의사들이 한국 내 교육과 시설방문, 기존 프로바이더 치과의사와 교류를 선호해 지난해 11월, 올해 4월과 9월 등 세 차례 국내에서 진행됐다.
수료생들은 임상 숙련도 및 자격심사, 병원 시설 실사를 거쳐 미니쉬 프로바이더에 가입할 수 있다. 10월 현재 미니쉬 프로바이더 치과는 한국 43곳, 일본 29곳, 미국 1곳, 캐나다 1곳, 베트남 1곳 등 총 75곳이다.
외국인 치과의사를 교육하는 글로벌 미니쉬코스는 일본 연 2회, 미국 현지 연 2회 등 연 4회 운영된다.
미니쉬테크놀로지는 세계 최대 의료시장인 미국에서 교육과정을 열었다는 것은 본격적인 글로벌 진출 단계에 진입을 의미한다며, 일본을 중심으로 아시아권에 집중했던 해외 사업이 북미 시장으로 확대되면서 글로벌 헬스테크 기업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 스페클립스, 인모드 영업·기술인력 교육
스페클립스(대표 홍정환)가 이달 자사 레이저 제품을 사용하는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기업 인모드(InMode Ltd.)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제품 및 기술 교육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인모드 이스라엘 본사 및 미국 지사 관계자들은 최근 스페클립스 본사에 방문해 자사 레이저 제품의 특장점과 이를 활용한 시술 프로토콜 등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이번 교육에 참여한 인원은 미국과 일본, 인도 지역의 영업·기술 인력들로, 교육에 참여한 인모드 관계자들은 각 현지에서의 제품 영업과 마케팅에 이를 활용할 예정이다.
스페클립스는 이달부터 인모드에 피코초 레이저와 나노초 레이저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 유럽 주요 국가와 일본, 호주, 인도 등에서 제품을 판매 중이며 회사는 지난달 프랑스에서 개최된 ‘2025유럽피부과학회(EADV)’에 참가해 유럽 현지의 인모드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기도 했다.
회사는 이번 교육을 통해 스페클립스와 인모드의 협력 관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봤다. 특히 지난달 유럽 현지 교육을 시작으로 이달에만 2번의 본사 방문 교육이 예정돼 있어, 양사 간 협력이 이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두 회사는 내년 본격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집중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또한 현재 레이저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지역에 더해, 내년 미국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획득하는 대로 회사는 빠르게 현지 영업을 전개해 미래 실적을 크게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은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분야 최대 시장으로 레이저 기반 미용 의료기기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홍정환 대표는 “이번 교육을 통해 인모드의 숙련된 글로벌 인력이 당사 레이저 제품의 우수성을 현지 시장에 빠르게 전파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했다”며 “인모드의 영업 노하우를 활용해 스페클립스의 피코초 레이저를 글로벌 No.1 제품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FDA 승인 획득과 함께, 인모드의 주 무대인 미국 내 강력한 유통망과의 결합은 스페클립스가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지멘스 헬시니어스 한국법인, ‘LMCE 2025 & KSLM 66th Annual Meeting’서 다양한 체외진단 솔루션 선보인다
지멘스 헬시니어스 한국법인은 오는 29일(수)부터 31일(금)까지 인천 인스파이어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는 ‘LMCE 2025 & KSLM 66th Annual Meeting'에 참가해 혁신적인 체외진단 기술을 선보이는 한편, 진단검사 분야의 최신 지식과 정보를 공유한다고 밝혔다.
참고로, ‘LMCE 2025 & KSLM 66th Annual Meeting’은 대한진단검사의학회(KSLM)가 매년 개최하는 국제학술대회의 올해 행사 명칭이다.
이번 학술대회 기간 동안 운영되는 지멘스 헬시니어스 부스에서는 자동화, 디지털화, 신속화를 통해 검사의 정확도와 검사실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CN-6000 등 다양한 진단 솔루션을 소개한다.
현장 전시제품 중 하나인 지멘스 헬시니어스의 차세대 혈액응고 분석기 ‘CN-6000’은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PT 검사 기준 시간당 최대 450건의 혈액응고 검사를 처리하며, 폭넓은 검사항목과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워크플로우로 검사실 효율성을 향상한다.
‘CN-3000, CN-6000’은 본 전시를 시작으로 국내 시장에 처음 선보일 예정으로, 자동화 시스템에 연결 가능해 검사량이 많은 대형 검사실부터 제한된 공간의 검사실까지 다양한 검사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진단검사실의 차세대 자동화 솔루션인 ‘플렉스랩 X(FlexLab X)’는 검체 접수부터 분석, 결과 제공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한 번의 조작으로 처리하는 원터치 엔드-투-엔드(End-to-End) 시스템으로, 위험하고 반복적인 수동 작업을 줄여 검사실의 효율과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이외에도 강력한 데이터 보안 기능을 탑재하고 원터치 작동으로 60초 안에 신뢰도 높은 결과를 제공하는 카트리지 타입의 혈액가스 검사 장비 ‘래피드포인트 500e(RAPIDPoint 500e Blood Gas System)’와 휴대형 무선 시스템으로 현장에서 즉시 검사실 수준의 포괄적인 혈액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혈액분석시스템 ‘에폭 혈액 분석 장비(epoc Blood Analysis System with epoc NXS Host)도 선보인다.
이와 함께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진단검사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행사 기간 중인 30일 교육 워크숍도 개최한다.
‘다발성경화증 진단과 관리의 새로운 전환점: 혁신적 바이오마커로서 신경필라멘트 경쇄(Advancing Multiple Sclerosis Diagnosis and Management: Neurofilament Light Chain (NfL) as a Transformative Biomarker)’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워크샵에서는 이제훈 가톨릭의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지멘스 헬시니어스 아태지역 진단사업본부 진단검사실 솔루션(Lab Solutions) 임상 마케팅 매니저인 주자나 흐루스코바(Zuzana Hruskova) 박사가 연자로 나선다.
흐루스코바 박사는 신경필라멘트 경쇄 (Neurofilament Light Chain, NfL)가 다발성경화증 진단과 관리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진단적 가치와 임상적 활용 방안을 공유한다.
박영배 지멘스 헬시니어스 체외진단사업본부장은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첨단 체외진단기술과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지원하며 의료 서비스의 질과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과 건설적인 학문적 교류를 통해 진단검사의학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휴온스, 스마트 인슐린펜 가격 인하 결정
휴온스가 당뇨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확대를 위해 스마트 인슐린펜 판매가 인하를 결정했다.
휴온스(대표 송수영)는 국내 연구를 통해 혈당 개선효과를 입증한 스마트 인슐린펜 ‘디아콘 P8’의 판매가를 기존 대비 31% 인하한다고 27일 밝혔다.
휴온스에 따르면 오는 11월1일(토)부터 휴온당뇨케어 홈페이지에서 디아콘P8 개별 구매 시 기존 금액인 55만원에서 31% 할인된 38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
휴온스는 더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최신 디지털 혈당 관리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금번 가격 인하를 결정했다고 그 취지를 설명했다. 이를 통해 요양급여 혜택을 받을 수 없는 2형 당뇨병 환자들 및 일부 1형 당뇨병 환자들의 본인 부담금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아콘 P8’은 4세대 스마트 인슐린 펜이다. 인슐린 주입 용량과 시간, 부위를 자동 기록하고 스마트폰 앱과 연동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디아콘 P8은 연속혈당측정기(CGM)과 연계된 볼루스(Bolus) 계산 기능과 0.1단위 미세 용량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환자들은 더욱 정밀하고 안전하게 인슐린을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치료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저혈당 위험을 줄이고 혈당 조절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디아콘P8은 최근 실사용 임상을 통해 근거가 입증됐다. 국제 학술지인 DMJ(Diabetes & Metabolism Journal) 9월호에 게재된 '디아콘 P8'의 실사용(real-world) 임상 연구 논문에 따르면 디아콘 P8 사용자군은 평균 교육 시간이 3.4시간으로 기존 인슐린펜 사용자 집단(4.2시간)보다 짧았음에도 혈당이 이상적인 범위(70~180mg/dL) 내에 유지된 시간이 11%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저혈당 발생시간(TBR <70mg/dL)은 2.6% 낮았다. 고혈당과 저혈당 발생 위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혈당 위험지수(Glycemic Risk Index, GRI)도 18.2점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송수영 대표는 “이번 가격 인하는 당뇨병으로 어려움을 겪는 환자분들이 더 합리적인 비용으로 스마트 인슐린 펜을 접하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정이다”며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접근성 확대와 혁신적인 당뇨 관리 솔루션을 통해 당뇨병 환자분들께 도움을 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