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과 검체검사, 질병 최종 진단 담당하는 핵심 분야
검체위탁 및 수탁 과정, 불합리한 관행으로 인해 어려움 겪어
‘기존 관행 유지’가 아닌 ‘구조 개선·사고 예방·의학 근간’으로 개편돼야
검체검사 위수탁제도 진행과정에서 ‘관행 유지’가 아닌,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병리학회(회장 강경훈)는 최근 검체검사 위수탁제도 개선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다.
대한병리학회는 “병리과 검체검사는 자동화가 어려운 부분이 많아 사람의 수작업이 많이 관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병리검사의 특성으로 인해 검체 접수부터 보고까지의 전 과정에서 오류 발생 위험 위험이 상존하며, 만일 검체가 뒤바뀌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환자 진료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대한병리학회는 이렇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도관리와 수탁인증제도를 통해 병리과 검체검사 과정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왔다”며 “그러나 위·수탁 과정에서의 관행적으로 이뤄져온 과도한 수가 할인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많은 수탁검사기관에서 과도한 양의 검체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불가피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오히려 병리검체검사 과정에서 오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한병리학회는 최근 국정감사에서 다뤄진 병리과 검체검사 오류 사건도 위수탁 과정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대한병리학회는 “해당 사건은 검체위탁 및 수탁 과정의 불합리한 관행으로 인해 병리과가 과도하게 많은 검체검사를 시행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제도 전반의 근본적 개편을 촉구했다.
그럼에도 국정감사 이후 논의 과정에서 개원의협회 등이 ‘기존 관행의 유지’를 주장하고 있는 데 대해 대한병리학회는 “현행 제도의 불합리한 구조를 지속시키자는 주장”이라며 “환자 안전과 검체검사 질관리를 위해서는 검체 위수탁과정의 구조적 개편과 제도적 보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대한병리학회는 인력 문제의 심각성도 강조했다. “병리과는 만성적인 전공의 지원자 부족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는 병리과 검체검사를 진단할 수 있는 병리전문의의 부족으로 이어져, 암 질환 진료 등을 포함하는 필수의료 분야의 공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이에 대한병리학회는 이번 검체검사 관련 개선 논의가 단순히 기존 관행 유지가 아닌, 병리과 검체검사 위탁 구조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환자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병리과 검체검사가 근거중심 현대의학의 근간으로 유지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