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분산으로 숙련도 떨어지면서 사망률 격차 벌어져”
정경원 센터장 “외상센터 재편 10년간 제자리”···개선 촉구
외상 체계의 구조적 문제가 중증 외상 환자의 사망률 증가를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17개 센터 중 6개를 선별해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윤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은 15일 열린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대상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우리나라 외상센터는 17개 시도에 다 하나씩 설치돼 있어 실제 중증 외상 환자 수에 비해 너무 많은 센터가 설치돼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중증 외상처럼 질병의 난도가 높은 경우 일정 수 이상의 환자가 확보돼야 질을 유지하고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며 “너무 많은 센터가 설치돼 환자가 분산되니까 인력도 제대로 유지가 안 되고, 숙련도가 떨어지면서 사망률 격차가 벌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참고인으로 출석한 정경원 경기남부 권역의료센터장(아주대병원 외상센터장) 역시 “원래 권역외상센터 설치 지원 사업 추진 당시 6~8개의 대규모 외상센터와 30여개의 닥터헬기 시스템을 도입해 전 국민의 중증 외상을 전담하는 것으로 돼 있었다”며 “17개로 나눠 소규모의 외상센터가 선정·배치되면서 평준화가 됐고, 일부는 업무 과부하로 일부는 인력난·운영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정부에서 2013년에 권역외상센터 설치 지원 사업을 새롭게 논의하면서 2015년 이후에 재편하겠다고 했지만, 10여년 동안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특히, 정 센터장은 “현장의 어려움들을 듣고, 신속하게 대응해달라”고도 호소했다.
이야기를 들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외상센터 개편 계획을 갖고 있다. 내년에 2개 정도를 레벨1 수준의 거점 외상센터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며 “예산에 반영돼 있다. 단계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에 김 의원은 “계획을 세울 때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며 “지역에 따라 의료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정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