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1.8%가 겪는 접촉피부염, 정확한 이유조차 몰라···‘첩포검사’는 왜 멈췄나
인구 11.8%가 겪는 접촉피부염, 정확한 이유조차 몰라···‘첩포검사’는 왜 멈췄나
  • 옥윤서 기자
  • 승인 2025.10.13 15: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첩포검사, 의약품 허가 수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전면 중단
99.9% 환자 원인 찾지 못해···대증요법 의존·불필요한 처방 증가
고주연 대한접촉피부염·알레르기학회장 “식약처,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접촉피부염 환자들이 첩포검사를 받지 못해 원인 규명이 어려운 현실을 두고, 첩포검사 허가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일 한양대에서 고주연 대한접촉피부염·알레르기학회장(한양대병원 피부과 교수)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고주연 회장은 2023년 기준 국내 접촉피부염 환자가 604만명(인구의 11.8%)인 상황에서 첩포검사를 받은 환자는 단 5000명(0.1%)에 불과하고, 99.9%의 환자가 원인을 찾지 못해 대증요법에 의존하거나 오진으로 인해 불필요한 처방이 증가하는 것에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첩포검사는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진단을 위한 기본 검사로, 의심되는 물질이나 상품화된 알레르기 항원을 피부에 부착했다가 제거한 뒤 반응 유무를 관찰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고 회장은 “첩포 검사는 그간 미국·유럽에서 수입해 사용해 왔으나, 2016년 제도 개편으로 의약품으로 분류되면서 ‘의약품 허가 수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전면 중단됐다”며 “대안으로 ‘트루 테스트’ 키트 도입을 검토했지만, 1개 가격이 30만원에 달해 현행 12만원 수준의 수가로는 병원이 감당할 수 없다. 환자들을 위한 검사를 불가능하게 만들어 놓고 도대체 어떤 발전이 있겠는가”고 한탄했다.

이에, 고 회장은 △첩포검사 접촉항원 확대를 위한 규제 개선 검토 △관련 부처와의 협의체 구성 및 제도 개선 방안 논의 △단계적 시행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터뷰 말미에 고 회장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식약처에 3000만원 가량을 들여 정책 보고서를 만들어 제출했지만 규정에 따라야 한다는 답변만 돌아왔다”며 “접촉피부염은 정확한 진단을 통해 충분히 예방 가능한 질환이지만 현재의 제한적인 첩포검사 시스템으로는 수백만명의 환자들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한다. 본 건의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적극적인 검토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