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비아(MetaVia), 글로벌 컨퍼런스 및 학회 참가···기업 가치 제고 본격화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의 관계사 ‘메타비아(MetaVia)’는 8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뉴욕주 맨해튼에서 개최되는 ‘H.C. Wainwright 27th Annual Global Investment Conference(H.C. 웨인라이트 제27회 연례 글로벌 투자 컨퍼런스)’에 참가했다고 9일 밝혔다.
H.C. Wainwright Global Investment Conference는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투자은행 H.C. 웨인라이트(H.C. Wainwright & Co.)가 매년 유망 기업과 글로벌 투자자를 초청해 기업 소개와 파트너십 논의를 진행하는 행사다.
메타비아는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16일 ‘Obesity Science & Innovation 2025 Congress(비만 과학 및 혁신 회의)’, 10월 ‘Fierce Biotech Week(피어스 바이오텍 위크)’에 참가해 기업 발표, 비즈니스 미팅, 네트위킹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11월에는 ‘ObesityWeek(미국비만학회)’에 동아에스티와 함께 참가해 비만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DA-1726의 경쟁력을 알리고 ‘AASLD(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 미국간학회)’에 참가해 MASH 치료제로 개발 중인 DA-1241의 개발 현황과 차별점을 소개할 계획이다.
지난 3일에는 ‘Wells Fargo Healthcare Conference(웰스파고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과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벤처캐피털 등과 비즈니스 미팅을 가졌다.
메타비아 관계자는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주요 투자 및 산업 컨퍼런스, 각종 학회에 적극 참가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투자자들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컨퍼런스와 학회에서 메타비아의 경쟁력을 적극 알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메타비아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나스닥 상장사로 MASH(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 ‘DA-1241’과 비만치료제 ‘DA-1726’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하는 동아쏘시오그룹의 글로벌 R&D 전진기지다.
■바이엘 코리아, 대한비뇨기종양학회 정기학술대회서 ‘뉴베카’ 런천 심포지엄 성료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는 제38회 대한비뇨기종양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자사의 경구용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ARi) 뉴베카(성분명: 다로루타마이드)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는 런천 심포지엄을 지난 6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런천 심포지엄은 박상현 해운대백병원 비뇨의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송완 삼성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가 연자로 참여했다. 송완 교수는 현재 대한비뇨기종양학회 전립선암진료지침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송완 교수는 ‘전립선암 치료의 새로운 도약: 다로루타마이드 기반 요법의 효능과 우수한 내약성의 균형(Reaching New Heights in Prostate Cancer Therapy: Balancing Efficacy and Favorable Tolerability with Darolutamide-based Regimens)‘을 주제로 전립선암 치료에서 뉴베카의 주요 임상 데이터 및 실제 진료 현장에서의 치료 가치에 대해 공유했다.
송 교수는 “뉴베카는 안드로겐 수용체에 높은 결합 친화력을 지닌 안드로겐 수용체 저해제(ARi)로, 독특한 구조적 특성 덕분에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투과율이 낮아 중추신경계(CNS)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수 있다. 또한, 고령의 환자군의 경우 다양한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약물 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의 위험이 낮아 관련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송 교수는 호르몬 반응성 전이성 전립선암(metastatic Hormone-Sensitive Prostate Cancer, 이하 mHSPC) 환자를 대상으로 한 ARANOTE 및 ARASENS 임상연구, 그리고 비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non-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이하 nm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한 ARAMIS 임상 연구 결과를 차례대로 소개했다.
먼저 mHSPC 환자 대상 뉴베카+ADT 2제 요법의 허가 근거가 된 ARANOTE 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뉴베카+ADT 병용요법 투여군은 위약군 대비 방사선학적 진행 또는 사망 위험률(radiographic Progression-Free Survival)을 46% 감소(HR 0.54; 95% CI 0.41–0.71; P<0.0001)시켰으며, 또한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etastatic Castrate-Resistant Prostate Cancer)으로의 진행 시간(HR 0.40; 95% CI, 0.32–0.51)과 전립선 특이항원(Prostate-Specific Antigen) 진행까지의 시간(HR 0.31; 95% CI: 0.23–0.41) 역시 지연시키는 등 주요 2차 평가변수에서도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송 교수는 ARANOTE 임상연구 사후 분석 결과를 소개하며 “뉴베카 2제 병용군은 위약군 대비 삶의 질 악화까지의 중앙값을 5.1개월 연장시켰으며, 통증 진행까지의 시간도 위약군 대비 유의하게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치료 효과와 더불어 삶의 질 개선까지 확인한 뉴베카 2제 요법은 mHSPC 치료에서 추가적인 표준 치료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mHSPC 환자 대상 뉴베카+ADT+도세탁셀 3제 요법 허가의 근거가 된 ARASENS 임상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해당 연구에서 뉴베카 3제 병용요법 투여군은 위약군 대비 전체 생존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확인했으며, 사망 위험을 32.5% 낮추는 등 탁월한 임상적 혜택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또한, “뉴베카의 주요 임상 연구에서 확인된 이상반응은 항암화학요법인 도세탁셀과 관련한 것이 더 많았으며, 전체적으로는 위약군과 비슷하거나 더 낮아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언급하며 “뉴베카는 임상 설계 단계부터 구조적으로 차별화되어 nmCRPC와 mHSPC 환자에서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해 입증된 내약성과 강력한 임상적 유효성을 함께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송 교수는 “최근 전립선암 치료 글로벌 가이드라인과 실제 진료 환경에서는 환자의 질병 특성, 전신 상태, 환자의 선호도 등을 고려해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을 권고하는 추세인데, 최근 뉴베카의 적응증 확대를 통해 국내에서도 환자의 상태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전략이 현실화됐다“며, “뉴베카는 임상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세탁셀 병용 여부와 무관하게 mHSPC에서 선택지를 넓히고, nmCRPC에서도 장기 지표 개선과 안전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노명규 바이엘 코리아 항암제 포트폴리오 리드는 “이번 심포지엄은 mHSPC와 nmCRPC환자를 위한 뉴베카의 확장된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고, 이를 국내 의료진과 공유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바이엘 코리아는 앞으로도 증거 중심주의를 바탕으로 전립선암 치료 분야 연구 지원을 통해 환자들의 치료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독, 연속혈당측정기 ‘바로잰Fit 전문가용’ 출시
한독(대표이사 김영진·백진기)이 연속혈당측기 ‘바로잰Fit’의 전문가용 모델을 출시했다.
이번에 선보이는 바로잰Fit 전문가용은 기존 제품과 동일한 사양을 유지하면서, 블라인드(Blind) 기능을 추가해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혈당 데이터를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블라인드 기능은 센서가 혈당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하지만 환자에게는 실시간 수치를 보여주지 않는 모드로, 의료진만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혈당 수치 인지로 인한 일시적 행동 변화나 심리적 요인에 의한 데이터 왜곡을 최소화해, 환자의 자연스러운 일상 혈당 패턴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의사와 상담 시 또는, 새로운 치료법 시작 전후의 치료 반응 평가, 환자 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활용할 때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존 바로잰Fit의 강점은 그대로 유지된다. 혈당 보정 과정을 필수로 거치지 않고 필요 시 자유롭게 보정할 수 있으며, 센서 안정화 시간은 30분으로 빠르게 혈당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최대 15일 사용 가능한 4.5g의 작고 가벼운 센서는 생활 방수 기능을 갖춰 환자가 일상생활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센서·어플리케이터 일체형 구조로 간편한 부착이 가능하다.
바로잰Fit 전문가용은 의료기관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행위료의 급여 적용이 가능해 환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의료진은 바로잰 Care 앱을 통해 환자의 혈당 데이터를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목표 내 혈당, 평균혈당, 표준편차, 변동 계수 등 다양한 임상 지표를 활용해 전문적인 혈당 상태 모니터링과 분석이 가능하다.
김윤미 한독 전문의약품 사업부 전무는 “바로잰Fit 전문가용은 의료 현장에서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혈당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제품”이라며 “앞으로 환자와 의료 전문가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바로잰은 2009년 론칭한 한독의 의료기기 브랜드다. 바로잰은 만성질환 케어의 바로미터란 뜻으로 개인용 체내 연속혈당 측정 시스템 바로잰Fit을 비롯해 개인용과 병원용 혈당측정기와 자동전자혈압계 바로잰 펄스, 콜레스테롤 측정기 바로잰 리피드 등이 있다.
■삼진제약,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주관기관 최종 선정
삼진제약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헬스미래추진단이 추진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바이오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 임무 신규 지원’ 과제에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를 통해 삼진제약은 양자컴퓨팅과 인공지능(AI)을 융합한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 ‘Q-DrugX(Quantum Drug Exploration.퀀텀 기술을 활용한 신약기술개발)’의 본격적인 착수와 기존 기술로 ‘undruggable(약물화 불가능)’하다고 평가된 난공략성 질환 영역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나서게 된다.
이번 컨소시엄에는 삼진제약을 중심으로 △퀀텀인텔리전스·나무ICT(양자 기반 표적 발굴)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성형 모델 기반 물질 최적화) △서울대병원(신규 타깃 검증·전임상 평가·초기 임상 전략)이 참여하며, 삼진제약은 프로젝트 총괄(PMO)로서 후보물질 합성·평가, 전임상 패키지 마련, 사업화 전략을 주도하게 된다.
기존 신약개발은 후보물질 설계–합성–평가 단계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특히, 난공략성 타겟의 경우 결합 예측과 후보 선별 단계에서의 잦은 병목현상 발생으로 개발이 중단되는 사례도 많았었다. 하지만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 ‘Q-DrugX’는 양자역학 기반 고정밀 결합 시뮬레이션과 양자 머신 러닝·생성형 AI모델을 통합, 탐색 속도와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였기에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4년 6개월간 최대 127.5억원의 정부지원금으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양자–AI 하이브리드 기반 혁신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전임상 진입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번 과제는 단순한 후보 발굴을 넘어 양자컴퓨팅이 실제 신약개발 현장에서 가치를 입증하는 첫 실증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양자컴퓨팅은 기존 슈퍼컴퓨터로 수백 년이 걸릴 계산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는 혁신 기술로서 0과 1의 이진법 대신 양자역학의 중첩과 원리를 활용해 방대한 경우의 수를 동시에 연산할 수 있는 등 신약 설계와 암호 해독, 금융 리스크 분석 등 복잡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도구로 주목 받고 있다.
이수민 삼진제약 연구센터장 전무는 “양자와 AI의 결합은 기존 계산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던 난공략성 타깃의 분자 메커니즘을 새롭게 열어가는 혁신적 도구”라며 “삼진제약은 Q-DrugX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양자–AI 기반 신약개발 체계를 확립하고, 난공략성 질환 영역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선정 소감을 밝혔다.
이창복 K-헬스미래추진단 PM은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개발 성공사례를 반드시 만들어내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국가 보건의료 난제 해결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유한양행, 몽골 정부·국제기구와 손잡고 몽골 사막화 방지 나서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창립 100주년을 앞두고 한국·몽골 수교 35주년을 기념하여 몽골 사막화 방지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제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몽골 정부,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현지 NGO ‘Billion Trees’와 함께하는 다자간 공식 협력으로, 수도 울란바토르 북서쪽 70km 지점의 바트숨베르(Batsumber) 산불 피해지를 복구해 생태계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사업은 몽골의 심각한 사막화 문제 해결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실질적 성과 창출이 기대된다. 특히 산불 피해 지역의 생태계 복구와 더불어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산림 관리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단기적 복원 성과에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한 산림 보전 체계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민간기업·몽골정부·국제기구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만큼 글로벌 ESG 협력의 대표적 사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업무협약식은 지난 8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소재 AFoCO 사무국에서 개최됐으며,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 박종호 AFoCO 사무총장, 오윤사나 몽골 산림청장, 볼드바타르 Billion Trees 대표, 수흐볼드 주한 몽골대사, 문흐바트 몽골 대통령실 비상임 고문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국제적 협력의 의지를 확인했다.
또한 오는 9월 말에는 몽골 현지에서 ‘Launching Ceremony’를 열고, 협력 기관과 지역 주민이 함께하는 식목 및 복원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업의 본격 출범을 알리고, 장기적인 글로벌 환경 파트너십을 다져 나갈 계획이다.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은 “이번 협력은 국경을 초월한 기후위기 대응의 소중한 첫걸음으로, 몽골의 사막화 방지와 생태계 회복을 이끄는 국제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며, “창립 100주년을 앞둔 유한양행은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몽골 정부와 아시아산림협력기구와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유한양행은 오창 미호강 생물다양성 증진 활동, 1사 1숲 가꾸기, 노을공원 나무심기 등 지역 생태계 보전과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경영을 적극 실천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 DGIST와 AI 기반 신약 개발 협력 위한 MOU 체결
한국파스퇴르연구소(소장 장승기, 이하 파스퇴르(연))와 DGIST(총장 이건우)는 지난 5일 오후 2시 파스퇴르연 대회의실에서 ‘AI 기반의 약물 선별·동정 및 신약 개발 산업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인적·물적·정보·연구활동 교류를 아우르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신·변종 감염병은 물론 노화, 암, 염증질환 등 다양한 미충족 의료수요(Unmet medical needs)에 대응하며 AI 기반 신약개발의 고도화를 위한 공동 기반을 마련한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 인적자원의 교육훈련·전문인력 양성 및 인턴십·현장실습 확대, △첨단 장비·시설의 공동 활용, △학술 및 산업 동향 정보의 교류, △공동연구 및 기술자문 등 연구협력 추진을 골자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승기 한국파스퇴르연구소장은 “연구소의 핵심 기술인 세포 기반 초고속 약효 탐색 시스템과 AI를 결합하여 유효 화합물을 정밀하게 선별·최적화함으로써 신약 후보물질을 창출할 것”이라며 “양 기관 간 협력을 통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가속화하여 공중 보건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구재형 DGIST 연구산학처장은 “DGIST는 다학제 융합 연구와 산학협력의 강점을 바탕으로 현장형 인재양성, 공동연구, 기술이전·사업화를 촘촘히 연결해왔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공동과제 발굴, 인적교류 등을 적극 추진하는 동시에, 현재 진행 중인 과제의 고도화를 통해 AI 기반 신약개발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국가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감염병 연구기관으로, 최첨단 연구 역량을 활용하여 감염병 치료제와 백신 개발 관련 기초 및 중개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DGIST는 융복합 연구와 혁신 교육을 기반으로 지역과 국가의 미래 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휴먼 디지털 트윈, 피지컬 AI, 퀀텀 센싱’을 3대 미래전략 분야로 선정해 산업 생태계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부광약품, ‘라투다’ 출시 1주년 심포지엄 성료
부광약품은 ‘라투다(성분명 루라시돈염산염)’ 출시 1주년을 맞이해 진행한 심포지엄이 성료됐다고 지난 8일 밝혔다.
부광약품은 지난 6·7일 서울 용산에 위치한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홀에서 ‘BK LIGHT(Latuda, One-Year In Korea: Gaining Hope Through Novel Treatment)’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양일간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전국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100명이 참석했다. 전문의들은 라투다의 임상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 등을 공유했다.
심포지엄 첫째날에는 홍진표 성균관의대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최정석 성균관의대 교수와 로져 S. 맥킨타이어Roger S. McIntyre) 캐나다 토론토대학 교수가 강의를 진행했다.
첫 번째 연사인 최 교수는 “양극성장애 우울증 연구에서 라투다는 리튬 또는 발프로산과의 병용 또는 단독 복용 시에도 유의한 우울 증상 개선이 나타났다. 이 때문에 기존 치료제로 효과가 부족할 경우 라투다로 변경 투여를 고려할 만하다”며 “실제 입원 및 외래 환자에서의 라투다 사용 증례에서는 우울 증상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저하된 인지 저하, 무기력감 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강의를 맡은 맥킨타이어 교수는 “라투다는 양극성 장애 우울 증상의 개선에 효과적이며, 경조증이 있는 환자에서는 위약(placebo) 대비 조증척도(YMRS)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아 미국에서도 1st Line(1차 치료제)으로 처방하고 있다”며 “또한 트라우마를 경험한 소아청소년 환자에서도 유의한 개선 효과를 확인했고, 양극성 장애 환자의 삶의 질이 개선됐다”고 전했다.
둘째날인 7일 정희연 서울의대 교수가 좌장으로 참석했고, 김세현 서울의대 교수와 김은주 연세의대 교수가 강의를 맡았다.
첫 번째 강의에서 김세현 교수는 “라투다는 조현병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을 통해 올란자핀과 유사한 수준의 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체중 감소가 환자 치료에 도움을 준다”면서 “실제 증례에서는 사회활동이 없고 기분에 문제가 있는 타 약제 복용 환자가 라투다 복용 시 해당 증상들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됐다”고 말했다.
두 번째 강의를 맡은 김은주 교수는 “라투다는 치료제가 제한적이었던 소아청소년의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증상이 개선됐다”며 “이는 2년간의 연장 연구에서도 확인됐으며, 이때 체중 증가 등 대사 관련 지표의 변화는 정상 성장 발달기준과 차이가 없어 장기 치료에 효과와 내약성이 확인됐다”고 언급했다.
이제영 부광약품 대표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향후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 진료 시 더 나은 치료 전략을 함께 모색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국내 및 해외의 저명한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들이 지난 1년간의 라투다 사용 경험을 공유학고 소통하며, 임상에서의 긍정적 변화와 발전 방향에 대한 고견을 교류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라투다의 여정은 이제 막 첫 걸음을 뗀 것에 불과하다”며 “앞으로도 진료 현장에서 의료진들과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상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중추신경계(CNS) 치료제를 제공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에스티팜 반월캠퍼스, 2년 연속 에코바디스 골드 메달 획득
에스티팜(대표이사 사장 성무제)은 반월캠퍼스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에코바디스(EcoVadis) 골드 메달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에코바디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공신력 있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 기관으로 꼽힌다. 180개국 13만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Environment) △인권 및 노동(Labor&Human) △윤리(Ethic) △지속가능한 조달(Sustainable Procurement) 4개 영역을 평가해 등급을 부여한다.
평가 등급은 플래티넘(Platinum, 상위 1%), 골드(Gold, 상위 5%), 실버(Silver, 상위 15%), 브론즈(Bronze, 상위 35%) 순이다.
에스티팜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와 글로벌 차원의 선언적 지지 등을 통해 지난해보다 더 높은 수준의 포인트를 획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환경, 인권 및 노동, 윤리, 지속가능한 조달 등 전 영역에서 실행력 최고점(100점)을 받았다. 이는 에스티팜이 단순한 선언을 넘어 실제 구체적인 조치와 실행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또 노동 및 인권과 환경 영역에서 전년 대비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모든 영역에서 일관되게 우수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는데 성공했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글로벌 대표 CDMO기업으로서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ESG 경영을 실현하고 있다”면서 “에스티팜의 비전인 생명을 살리는 혁신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경영활동의 원칙을 준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에스티팜은 2023년 5월 사회적책임경영 선포를 기점으로 지속가능한 경영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특히 지난 6월에는 지속가능경영 추진 성과와 향후 전략 및 계획을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처음으로 발간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한국화이자제약, 신규 코로나19 변이 백신 코미나티 엘피에이트원프리필드시린지 국내 허가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이 자사의 새로운 코로나19 변이 백신 ‘코미나티 엘피에이트원프리필드시린지(사스코로나바이러스-2 mRNA 백신)’가 지난 8월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정식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허가 받은 코미나티 엘피에이트원프리필드시린지는 12 세 이상에서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한 코로나 19의 예방을 적응증으로 허가받았다. 이전 코로나 19 백신 접종과 상관없이 근육주사로 0.3 mL을 1 회 투여하며, 이전에 코로나 19 백신을 접종 받은 경우 가장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최소 3 개월 이후에 투여해야 한다.
코로나19는 2023년 엔데믹 선언 이후에도 국내에서 환자를 꾸준히 발생시키며 독감처럼 매년 찾아오는 상주질환으로 자리잡았다.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의 감염병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작년 코로나19로 인한 입원환자 수는 독감으로 인한 입원환자 수의 약 3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치명률이 높았는데, 국내 코로나19 전수감시 기간 사망자 분석 결과(2020.1.20.–2023.8.30.), 총 3만5605명의 사망자 중 90% 이상이 고령층 및 기저질환자로 확인됐다. 이에 고위험군인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에서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권고된다.
코미나티 엘피에이트원프리필드시린지가 타깃하는 LP.8.1 변이는 JN.1 계열 하위 변이이다. LP.8.1 변이는 올해 1월 세계보건기구(WHO)의 모니터링 변이(variants under monitoring, VUM)로 지정되었고 세계보건기구(WHO), 유럽의약품청(EMA), 미국식품의약국(FDA) 등이 해당 균주에 대한 백신의 활용을 권고한 바 있다.
또한, 이번 백신은 프리필드시린지 제형이다. 한 체계적 문헌 고찰에 따르면, 프리필드시린지 제형은 기존 방식 시린지 제형 대비 준비 및 투약 오류 발생률이 낮았으며(각각 최대 73.6%, 2.5%), 준비 시간 또한 단축된 것으로 보고되었다(각각 최대 8.3분, 3.9분). 이에 더해, 프리필드시린지 제형은 기존 방식 시린지 제형 대비 약물 폐기율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최대 92.0%, 15.3%). 또한, 코미나티 엘피에이트원프리필드시린지는 냉장(2~8°C)보관이 가능하며 사용기간은 제조일로부터 12개월이다.
한편, 이번 25~26절기 접종부터 코로나19 백신은 국가필수예방접종(NIP)에 도입돼 △65세 이상 고령자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에게 무료 접종이 진행된다. 면역저하자와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 및 75세 이상은 10월15일부터 접종 가능하며, 70~74세, 65~69세는 각각 10월 20일, 22일부터 접종할 수 있다.
송찬우 한국화이자제약 프라이머리케어(Primary Care) 사업부 부사장은 “엔데믹 이후 코로나19에 대한 관심이나 우려가 크게 줄어들었지만, 코로나19는 여전히 변이를 지속하며 환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감염 시 중증과 사망위험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철저한 예방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코미나티 엘피에이트원프리필드시린지 허가와 더불어 코로나19 백신이 정식으로 NIP에 도입된 만큼, 한국화이자제약은 코로나19 국내 고위험군 보호와 공중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아래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휴젤, 더마드림사와 손잡고 브라질 톡신 시장 공략 재점화
휴젤(회장 차석용)이 브라질 소재 ‘더마드림사(Derma Dream)’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중남미 핵심 거점인 브라질 시장을 공략한다.
더마드림은 탄탄한 영업망과 마케팅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브라질 대표 에스테틱 전문 기업이다. 독립적인 학술·교육 조직, 자체 트레이닝 센터 및 물류센터 등을 기반으로 한 실습 중심의 워크숍과 학술 행사 운영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영업, 마케팅, 교육 등에 있어 전방위적인 협력을 이어가며 현지 시장 공략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 일환으로 지난 4일과 5일에는 리우데자네이루와 상파울루에서 ‘레티보’ 브라질 프리 론칭 행사를 개최했다.
두 도시에서 연달아 열린 행사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Letybo, 국내 제품명 : 보툴렉스)의 제품 소개를 넘어 시술 노하우, 최신 임상 데이터, 현장 Q&A 세션, 네트워킹 디너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현지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었다.
리우데자네이루 행사에는 피부과 전문의, 상파울루 행사에서는 치과의사 및 생명공학 전문가들이 주축이 돼 참석했다. 특히 세계적으로 저명한 피부과 전문의 도리스 헥셀(Doris Hexsel)과 파비아누 마가호(Fabiano Magacho)를 비롯한 브라질 내 주요 의료 전문가들이 의료 미용 시술의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휴젤 관계자는 “단일 국가 기준 세계 3위 규모의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인 브라질에서 현지 최고의 파트너인 더마드림과 함께 레티보의 경쟁력을 알리게 돼 기쁘다”며 “차별화된 제품력과 학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브라질 소비자와 전문가 모두에게 신뢰받는 프리미엄 톡신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