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현 고대안산병원 교수팀, 2025 아시아-태평양 원발성 간암 전문가 학회 Best Abstract Award 수상
박주현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일본 고베 포트피아 호텔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원발성 간암 전문가 학회(Asia-Pacific Primary Liver Cancer Expert Conference, APPLE 2025)에서 Best Abstract Award를 수상했다.
APPLE 국제학술대회는 간암 분야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학술교류를 진행하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행사이다. 이번 학회에서는 국제적으로 수백 편의 초록이 제출되었으며, 이 중 가장 우수한 상위 3편의 초록을 선정해 Best Abstract Award를 수여했다.
박주현 교수팀은 '체질량 지수(BMI)와 담관암 발생 위험 간의 관련성(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Risk of Cholangiocarcinoma)'이라는 주제의 연구를 발표하여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비만과 담낭암 위험 간의 연관성은 잘 알려져 있었지만, 비만과 담관암 위험 간의 연관성에 대한 근거는 매우 부족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952만여 명 대규모 코호트를 분석한 결과, 중등도 비만(BMI 25.0~29.9 kg/㎡) 및 고도 비만(BMI 30 kg/㎡ 이상)이 정상체중 대비 담관암 발생 위험을 각각 1.23배, 1.40배 높인다는 것을 밝혔다. 반면 저체중군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담관암 발생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 지수 분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아시아 기준에 따라 저체중(< 18.5 kg/㎡), 정상체중(18.5–22.9 kg/㎡), 과체중(23.0–24.9 kg/㎡), 중등도 비만(25.0–29.9 kg/㎡), 고도 비만(≥ 30.0 kg/㎡)으로 구분했다. 연구팀은 담관암의 전 세계적인 증가 추세와 과체중 및 비만 인구의 증가를 고려할 때, 적극적인 교육과 비만 관리가 담관암의 질병 부담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주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만이 담관암 발생의 중요한 위험요인임을 확인했다”며 “조기에 비만을 관리하는 것이 담관암 위험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민정 고대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 ‘근정포장’ 수상
오민정 고대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보건복지부가 지난 11일 개최한 ‘제14회 인구의 날’ 기념행사에서 ‘근정포장’을 수상했다.
‘인구의 날’ 행사는 보건복지부가 저출생과 고령화 등 인구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일과 가정 양립 문화 조성 등에 기여가 큰 개인과 기관을 격려하기 위해 매년 개최한다.
오 교수는 2020년부터 5년간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현 권역모자의료센터) 센터장으로 활약해오며, 서울 서남권 지역의 쌍태아 임신, 자궁무력증 등 고위험 산모의 안전한 출산과 신생아 치료에 기여해 온 공로를 인정받아 근정포장을 수상했다.
특히, 권역 내 고위험 산모, 태아 신생아의 치료를 최종 담당하며 안전한 임신과 출산으로 모성과 신생아 이환율 및 사망률 감소에 기여해 왔으며, 인근 협력병원과 학술 집담회 및 정기심포지엄 등을 통해 권역 내 고위험산모·신생아 진료 거점 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고대구로병원은 2019년 2월 서울 서남권역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현 권역모자의료센터)로 지정돼 권역 내 고위험 임산부의 임신부터 출산 이후까지 산모 및 태아, 신생아를 집중 치료해왔다.
또한, 올해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고위험 임산부와 신생아를 위한 24시간 응급 대응체계를 운영하며 중증·응급환자의 최종 치료를 담당하는 것은 물론 지역 내 의료기관 간 긴밀한 연계와 협력을 통해 응급 및 고위험 분만, 신생아 진료를 보다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오민정 교수는 “고대구로병원은 서울 서남권역 내 거점병원으로, 전체 분만 중에서 고위험 분만이 차지하는 비중이 80% 이상으로 매우 높다”며 “신생아중환자실은 현재 신생아 세부 전문의를 포함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중심으로 하루 24시간, 365일 운영하고 있으며 초극소·저체중 미숙아부터 만삭아까지 다양한 신생아 환자군을 진료 중이다. 앞으로도 고위험 산모의 안전한 출산과 신생아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동현 보라매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김동현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영상의학과 교수가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학문 분야별 수상자는 이학 30명, 공학 90명, 농수산학 37명, 보건 59명, 종합 29명 등 총 245명이다. 시상식은 7월 10일 서울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와 연계하여 진행됐다.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매년 창의적이고 탁월한 연구활동을 통해 우수 논문을 발표한 과학기술자를 선정해 시상하는 상으로, 국내 과학기술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상이다.
이번 수상은 김동현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MRI Using U-Net: A Multicenter Study- Automated Detection and Segmentation of Bone Metastases on Spine(척추 MRI를 활용해 골전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분할 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U-Net)‘개발)’에 대한 성과로, 영상의학 분야 학술지인 Korean Journal of Radiology에 게재되었다.
암이 뼈로 퍼지는 ‘골전이’는 특히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환자에게서 흔하며, 척추에 전이가 생기면 병적 골절, 마비, 신경 손상 등을 유발해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척추 전이는 환자의 치료 방향 결정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환자 한 명당 수백 장에 달하는 척추 MRI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영상의학과 의사들의 부담은 적지 않다. 김동현 교수팀의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김동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AI 기술이 실제 진료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며 “향후 더 모델을 고도화해, 의료진의 진단 부담을 줄이고 환자 치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