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소식] 7월 1일
[제약업계 소식] 7월 1일
  • 김동희 기자
  • 승인 2025.07.01 1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G화학, 골관절염 콜라겐 주사 3종 ‘라제안’으로 통합 브랜딩

LG화학이 골관절염 콜라겐 주사 제품 3종의 브랜드명을 ‘라제안’으로 통합한다.
 
LG화학은 1일, 슬관절(무릎 관절)의 골관절염 환자 대상 콜라겐 사용 조직 보충재인 카티졸 엑스트라의 제품명을 ’라제안 엑스트라’로 변경, 기존의 ’라제안 밸런스’, ’라제안 클래식’과 함께 통합 브랜딩에 나선다고 밝혔다.
 
‘라제안’은 LG화학 고유의 브랜드명으로 ‘콜라겐으로 관절을 편안(安)하게’ 만든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라제안 엑스트라’는 6개월내 최대 2회 투약 가능한 2회 제형 제품이며 △‘라제안 밸런스’는 3회 제형 △‘라제안 클래식’은 5회 제형 제품이다.   
 
LG화학은 이번 브랜드 통합 및 리뉴얼을 통해 본격 확대되고 있는 골관절염 의료기기 시장에서 경쟁사와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고, 고객 중심의 브랜드 정체성을 일관되게 유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LG화학은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 최적의 품질관리를 위해 완제품 공장 입고부터 보관, 포장, 출고까지 유통 전 과정에 냉장배송 환경을 구축했다. 라제안이 30°C 이하 실온 보관 제품임에도 LG화학이 더욱 엄격하게 냉장 유통을 채택한 것은 보관 온도 변수가 큰 한여름에 제품의 품질 오차를 최소화해 안정적으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LG화학은 라제안의 유통 및 품질 관리를 경쟁력으로 내세워 브랜드 신뢰도를 한층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LG화학은 주사 통증 최소화 등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높이는 실효적 방안을 지속 발굴해 현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LG화학은 1997년 히루안주, 2005년 히루안플러스주, 2014년 시노비안주 등 히알루론산 성분의 의약품 개발로 30여년간 국내 골관절염 시장을 선도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LG화학은 라제안의 브랜드 영향력도 빠르게 높여가고 있으며, 지난해 건강보험청구액 자료 등을 바탕으로 라제안 제품군의 관련 시장 점유율이 40%를 돌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LG화학 황인철 프라이머리-케어 사업부장은 “치료 현장에서의 고객경험 개선에 초점을 맞춰 라제안의 브랜드 가치를 한층 끌어올릴 계획”이라며 “라제안, 시노비안처럼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지속 선보이고, 고객경험 혁신을 위한 마케팅 활동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C케어,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 참가···건강검진부터 건강증진까지 통합 서비스 소개

기업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기업 GC케어(대표 김진태)는 오는 7월7일부터 10일까지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 7·8홀에서 열리는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국제안전보건전시회·KISS 2025)’에 참가한다고 1일 밝혔다.

KISS는 1983년 시작된 국내 최대 규모의 산업안전·보건 전시회다. 전체 참관객의 70% 이상이 안전보건관리자 및 구매 담당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전보건 관련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전시회로 평가받고 있다.

GC케어는 이번 전시회에서 ‘임직원 건강관리 No.1, GC케어’라는 슬로건 아래, 건강검진부터 건강증진까지 통합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어떠케어’를 중심으로 기업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어떠케어’는 국내 최고 수준의 보안인 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을 획득한 임직원 전용 건강관리 앱으로, 건강검진 예약부터 결과 확인, 유소견 관리,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주요 서비스는 GC케어의 건강검진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이다. 건강검진 프로그램은 업계 최고 수준의 예약 수용력과 1:1 전담 운영 체계를 기반으로 검진 오픈부터 종료까지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여 기업의 검진 업무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또한, 검진 결과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된다. △유소견자에게 의료진 1:1 상담과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필수 프로그램, △고혈압·당뇨·비만 개선 효과가 검증된 만성질환 관리 중심의 신체 건강 프로그램, △검진 예약 시 함께 진행 가능한 마음 검진과 24시간 독립 창구를 통한 심리 상담, 직장 내 괴롭힘 케어 등 마음 건강 프로그램, △운동·식습관 개선을 돕는 기업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임직원의 건강한 일상과 조직 활력 제고를 지원한다.

GC케어 관계자는 “최근 기업 복지와 건강경영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건강검진을 넘어 건강증진까지 고려한 종합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현장 실무자들과 소통하고, 다양한 기업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안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GC케어 부스는 ‘산업보건 및 직업건강 존’ 내 ‘8K201’ 구역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전시 부스를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대웅제약, 부산 시민과 ‘실명 예방’ ESG 캠페인…···디지털 헬스케어로 1천명 안저 검사

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은 지난 6월 부산항 제1부두에서 개최된 ‘2025 포트빌리지 부산’ 행사에서 ESG 실명 예방 캠페인을 열고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로 부산 시민 1천여 명에게 실명 질환 검사를 진행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한 안저 검사 체험과 실명 질환 조기 발견을 통해 부산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4박 5일간 약 1만여 명이 대웅제약 부스를 방문했고, 이 중 1천여 명이 안저 검사를 직접 체험하며 실명 예방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트빌리지는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가 공동 주최한 대규모 해양 복합문화 행사로, 친환경, 문화예술, ESG 기술, 글로벌 교류가 어우러진 도심형 라이프스타일 축제다. 올해는 ESG 기업 전시, 항만 지속가능성 포럼, 친환경 부스, 시민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구성돼,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의 가치를 시민들과 함께 나누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대웅제약은 헬스케어 분야 대표 ESG 기업으로서 이번 행사에 참가해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한 실명 예방 캠페인을 진행했다. 단순한 건강 정보 제공을 넘어, 실명 질환의 조기 발견과 예방의 중요성을 시민들이 직접 체험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해 ‘건강한 삶의 지속가능성’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현장에서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안저카메라 ‘옵티나(OPTiNA)’를 활용해 안저를 촬영하고,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WISKY)’를 활용해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녹내장 등 3대 주요 실명 질환의 위험도를 약 5초 만에 예측·판독했다. 검사 결과는 현장에서 즉시 안내됐으며, 이상 소견이 있는 참가자에게는 병의원 방문을 권고해 신속한 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안내했다.
 
이밖에 대웅제약은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mobiCARE)’, 반지형 연속혈압 측정기 ‘카트비피 프로(CART BP pro)’ 등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기반으로, 질환 예방과 조기 진단 중심의 헬스케어 ESG 전략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실명 예방 캠페인을 확대해 전국 단위의 건강 증진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조병하 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부장은 “단순한 체험형 이벤트를 넘어, 실제 건강검진 기반의 실명 질환 조기 발견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전달하고자 이번 캠페인을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헬스 기술을 활용한 공공 캠페인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ESG 경영을 동시에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웅제약은 ESG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경찰관 돌연사 예방 ‘SAVE THE HERO’ 캠페인 △임직원 대상 AI 건강검진 캠페인 △강릉아산병원·고대안산병원 연계 의료지원 활동 등을 진행해 왔으며, 특히 도서 지역 주민 대상 건강검진을 통해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

 

■유유제약, 국방부와 유유 캠페인 진행

유유제약이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과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 확산을 위한 ‘유유 캠페인’을 진행한다.
 
‘유유 캠페인’은 “당신도(YOU), 당신의 지인도 유(遺)가족일 수 있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6·25전쟁 당시 전사했으나 수습되지 못한 12만여위의 유해를 찾아 유가족과 DNA 검사를 통해 일치하는 호국영웅(전사자)을 국립 현충원에 모시는 보훈사업을 활성화하고자 기획했다.
 
‘유유 캠페인’은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본인 친·외가 8촌 이내에 6·25 미수습 전사자가 있는지 확인 후 1577-5625로 전화해 안내에 따라 인근 군부대, 군·보훈·적십자병원, 보건소에서 구강을 스폰지 막대로 문지르는 간단한 시료 채취에 응하면 된다. 시료 채취시 기념품 및 건강기능식품이 증정되며, 유가족으로 확인될 경우 10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되고, 6·25 전사자 신원확인 시 유가족 대표에게 1,000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유유제약은 유전자 시료 채취에 동참한 유가족에게 증정되는 건강기능식품을 지원하며, 국유단과 함께 유유 캠페인에 대한 국민 공감대 확산 및 참여 독려를 위한 온·오프라인 홍보를 전개한다.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은 올해 25주년을 맞았다. 그간 1만1460여 명이 넘는 국군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도 장병 10만여 명이 6·25전쟁 격전지에 투입돼 호국영웅을 찾고있다. 이렇게 발굴한 호국영웅 유해의 신원확인은 유가족의 유전자와 비교·분석하는 방법이 유일하다. 국방부가 ‘유유캠페인’ 대국민 홍보 확산을 위해 유유제약과 협업하는 이유다.
 
박노용 유유제약 대표이사는 “유유제약은 지난 2023년 국가보훈시책에 적극 협조하고 보훈 가족의 복지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가보훈부로부터 감사패를 수여받은 바 있다”며 “앞으로도 보훈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동아ST,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온(溫, ON)’ 발간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2024년 한 해 동안의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주요 활동 및 성과를 담은 동아에스티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온(溫, ON)’을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보고서명 ‘온(溫, ON)’은 순우리말로 ‘모두’와 ‘100’을 의미하며, 한자로는 따뜻함, 영어로는 지속하다를 의미한다. 이는 2032년 동아쏘시오그룹 창립 100주년을 향해 나아가며, 지속적인 R&D를 통한 신약개발과 사회책임경영을 바탕으로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동아에스티의 의지를 담았다.

이번 보고서는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기준에 따라 작성됐으며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등 글로벌 보고 기준을 준용해 신뢰도를 높였다.

동아에스티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이해관계를 대상으로 이중 중대성 평가를 수행했다. 기업 활동이 사회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 및 환경적 요인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의약품 품질 및 안전 관리 △R&D 투자 확대 및 신약 개발 △인재 채용 및 관리 △협력사 ESG 관리 △기업 윤리 및 컴플라이언스 준수 △행복한 조직문화 조성 등 6대 중대 이슈를 식별해 체계적으로 관리한 내용을 보고서에 담았다.

동아에스티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온(溫, ON)’은 동아에스티 홈페이지(https://www.donga-st.com/html/integrated.php)에서 확인 가능하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동아에스티는 생명 존중과 인류 건강 증진이라는 사명을 바탕으로, 정도경영을 실천하고 인권, 환경, 준법, 사회공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과 협력사, 투자자, 지역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와의 신뢰와 기대에 부응하며 지속가능한 혁신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동아에스티는 2024년 한국 ESG기준원의 ESG 평가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을 획득했으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제32회 좋은기업상 대상 수상, 고용노동부 제1회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선정, 산업통상자원부 제31회 기업혁신대상 장관상 등을 수상하며 지속가능경영 실천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 ‘울쎄라피 프라임’ 그랜드 론칭 심포지엄 성료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는 지난 6월2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차세대 초음파 리프팅 기기 ‘울쎄라피 프라임(Ultherapy PRIME, 집속형초음파자극시스템 의료기기)의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그랜드 론칭 심포지엄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그랜드 론칭 심포지엄은 울쎄라의 독자적인 기술력을 계승한 울쎄라피 프라임이 공식적으로 국내에 첫 선을 보이는 자리로, ‘WE LEAD, The Prime of ALL’을 주제로 진행됐다. 울쎄라피 프라임이 지닌 임상적 진보와 브랜드 철학을 공유하고,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트렌드를 주도하는 한국 시장의 리더십을 조명하려는 취지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최초로 500여명의 의료관계자가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로 울쎄라피 프라임의 브랜드 위상을 재입증 하는 계기가 됐다.
 
연자로는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분야의 권위자인 사브리나 파비 박사(Dr. Sabrina Fabi, MD)와 국내 초음파 리프팅 권위자인 박제영 압구정오라클피부과의원장이 나섰다. 파비 박사는 실시간 초음파 영상 기술을 활용한 다중 피부층 타겟팅을 주제로 정밀한 리프팅의 진화에 대해 발표했으며, 박 원장은 한국인을 위한 개인 맞춤형 리프팅 접근 전략에 대한 임상 경험과 인사이트를 공유해 많은 의료관계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어진 패널 디스커션에는 앞서 발제에 나선 두 연자 외에도 윤성재 압구정리더스피부과의원장, 김민주 V&MJ피부과의원장, 박영운 빌라드스킨피부과의원장이 참여해 다양한 환자 사례를 중심으로 실시간 영상 장치 기술의 임상 적용 전략을 논의했다.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접근법을 다각적으로 공유하며, 울쎄라피 프라임의 임상적 효용성과 확장 가능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한편 울쎄라피 프라임은 2009년 국내 허가를 받은 초음파 리프팅 기기 울쎄라의 기술력과 300만건 이상의 시술 건수를 계승한 차세대 플랫폼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실시간 영상장치(MFU-V: Micro-focused Ultrasound with real-time Visualization)를 보유하고 있다. 독자적인 ‘딥씨(DeepSEE™)’ 기술을 기반으로 진화한 울쎄라피 프라임은 더욱 선명하고 정밀한 실시간 초음파 영상 이미지를 구현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피부 구조를 시각화한다. 시술자는 1.5mm, 3.0mm, 4.5mm 등 3종 트랜스듀서를 활용해 환자의 피부 상태에 맞춰 보다 정교하고 안전한 초개인화된 맞춤 리프팅 시술을 구현할 수 있다.
 
멀츠 유수연 대표는 “지난 16년간 울쎄라의 임상적 가치를 신뢰해 주신 의료전문가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다. 이제 울쎄라의 유산을 고스란히 계승하고 더 업그레이드된 울쎄라피 프라임으로 또 한 번의 도약을 준비고자 한다”며 “울쎄라피 프라임은 ‘볼수록 강한 초음파’로, 고도화된 실시간 영상 장치 기술을 기반으로 더욱 정밀하고 정교한 리프팅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많은 의료전문가들께서 보여주신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울쎄라피 프라임은 국내 리프팅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더 많은 이들이 나다운 아름다움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노바티스, 유럽혈액학회서 파발타 최신 임상 결과 발표···수혈 회피 및 피로감 개선 효과 확인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유럽혈액학회(European Hematology Association, 이하 EHA 2025)’에서 자사의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이하 PNH) 치료제 ‘파발타(Fabhalta 성분명 입타코판)’의 최신 임상 연구 결과 2건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파발타는 면역체계의 대체 보체 경로(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에서 근위적으로 작용하는 B인자 억제제로 국내 최초로 승인된 단일 경구 성인 PNH 치료제(제품명 파발타캡슐 200밀리그램 입타코판염산염수화물)다. 

이번 발표된 임상은 △기존 C5 억제제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파발타 단독요법으로 전환한 제3b상 APPULSE-PNH 연구와 △장기 데이터인 APPLY-PNH 및 APPOINT-PNH 2년 연장 연구로 구성됐다.
 
APPULSE-PNH 연구는 기존 C5 억제제를 복용 중이며 헤모글로빈(Hb) 수치가 10g/dL 이상인 PNH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파발타 경구 단일요법의 24주간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임상이다. 연구 결과 환자들은 평균 2.01g/dL(95% CI 1.74–2.29)의 유의미한 헤모글로빈 수치 개선을 보였다. 

전체 환자의 92.7%가 헤모글로빈 수치 12g/dL 이상에 도달했으며, 치료를 받는 24주 동안 수혈이 필요한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돌발성 용혈(Breakthrough Hemolysis)과 주요 혈관계 이상반응도 발생하지 않았다. 아울러 젖산탈수소효소(LDH)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1.5배 미만으로 유지되었고, 절대 망상적혈구 수치가 감소해 파발타 투여군은 혈관 내 용혈 억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혈관 외 용혈 조절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피로감 개선 효과도 확인됐다. FACIT-Fatigue 점수 기준으로 파발타 투여군의 피로감은 168일 차에 평균 4.29점으로 개선(1.74, 6.85)됐다.
 
또한 APPLY-PNH 및 APPOINT-PNH 연구의 2년 연장 데이터도 공개되어, 파발타의 장기 안전성 프로파일과 내약성을 재확인했다. 특히 피로감은 PNH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로, C5 억제제 치료를 받는 환자 중 75~89%가 여전히 피로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환자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은 물론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PNH 환자의 피로감 관련 글로벌 설문조사에 따르면, PNH 환자의 91%가 피로감을 가장 불편한 증상으로 꼽았으며, 97%가 일상적인 신체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번 임상에서 확인된 파발타의 헤모글로빈 수치 개선 및 피로감 개선 효과는 환자의 삶의 질 측면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결과로 해석된다.
 
 장준호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교수는 “기존 C5 억제제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이 필요하다”며 “이번 APPULSE-PNH 시험의 긍정적인 결과는 기존 3상 임상에 비해 기준 헤모글로빈 수치가 높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한 파발타는 환자에게 경구 단일요법이라는 새로운 치료 선택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PNH는 만성적인 보체 매개성 혈액 질환으로, 조혈모세포에 생긴 후천적 돌연변이로 인해 보체 공격에 취약한 적혈구가 생성되면서 혈관 내 용혈(IVH)과 혈관 외 용혈(EVH)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병태는 혈전증, 신부전, 폐동맥고혈압 등 치명적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율 모두에 영향을 준다.
 
PNH는 기존의 C5 억제제로 치료받은 환자 상당수가 잔존하는 빈혈로 인해 수혈해야 하는 등 미충족 수요가 여전히 남아있던 것으로 보고됐다. C5 억제제 치료를 받는 환자 중 많게는 87.5%가 빈혈을 지속적으로 겪을 수 있고 해당 환자 중 삼분의 일 이상은 연간 최소 한 번 이상 수혈을 받아야 했다. 파발타는 상위단계인 C3와 C5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전적 강점을 갖춰, 혈관 내외 용혈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옵션이다.
 
이지윤 한국노바티스 혈액암사업부 전무는 “이번 EHA 2025에서 발표된 데이터는 파발타의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이 실제 환자에게 의미 있는 혜택을 제공함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한국노바티스는 희귀질환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서, PNH 환자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국아스텔라스, 신임 마켓액세스 총괄에 백소영 상무 선임

한국아스텔라스(대표 김준일)는 신임 마켓액세스 총괄(Market Access Head)로 전 한국다이이찌산쿄 항암제 사업부 마켓액세스 총괄인 백소영 상무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백소영 상무는 향후 한국아스텔라스의 혁신 항암제인 ADC 치료제와 표적치료제를 포함해 현재 및 향후 도입될 혁신의약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등재 전략과 실행을 총괄한다.
 
백 상무는 숙명여대 경제학과 학사, 성균관대 약학대학 약물경제학 약학석사를 취득하였고, 한국아스텔라스 합류 전 한국다이이찌산쿄, 사노피코리아, 한국MSD 등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의 마켓액세스와 마케팅 부서에서 약 18년 이상의 경험을 쌓아온 제약업계 베테랑이다.
 
백 상무는 한국다이이찌산쿄에서 지난해 4월 급여 등재된 유방암, 위암 치료제 엔허투의 신약 등재를 리드하며 정부와의 긴밀한 협업을 기반으로 해당 치료제가 15개월 만에 급여 등재되는 데 크게 기여한 바 있다. 

또한 재직기간 조직의 성장과 개발을 위해 기여한 공로로 다이이찌산쿄 본사에서 주최하는 핵심 역량 우수 어워드(Core Behavior Award)의 개발 및 성장 부문에서 글로벌 TOP 3 직원 중 하나로 선정됐다. 이 외 한국MSD 마켓액세스 팀에서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와 스페셜티 부문에서 급여 등재 전략과 실행에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특히 백 상무는 한국MSD와  사노피코리아에서 마케팅 리드 등을 역임하며 10년 이상 당뇨, 심혈관, 면역질환, 호흡기 및 알레르기, 비뇨기 질환 등 다양한 치료 영역의 마케팅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마케팅 전문가이기도 하다. 치료제 출시부터 특허 만료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친 풍부한 비즈니스 경험은, 현재의 마켓액세스 성과에도 큰 기반이 되고 있다는 평가이다.
 
김준일 한국아스텔라스 대표는 “약제 개발의 진정한 가치는 해당 약제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쓰였을 때 비로소 그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며 “백소영 상무는 앞으로 한국아스텔라스의 마켓액세스팀을 총괄하며 회사의 혁신 항암제 및 향후 출시될 다양한 혁신의약품들이 임상 현장에서 실제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환자 접근성 향상을 위해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아스텔라스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두 개의 일본 제약기업이 지난 2005년 합병해 설립한 회사로 올해 출범 20주년을 맞이했다. 지난해 합병 이후 역사상 최고의 매출을 기록한 바 있으며, 현재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서 자사의 혁신 의약품을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전체 매출의 약 80% 이상이 일본 외에 미국, 유럽 및 캐나다 등의 지역에서 발생했다.
 
아스텔라스의 한국지사인 한국아스텔라스는 지난해 하반기에만 두 개의 혁신 항암제를 국내 도입하는 등 국내 암 환자들을 위해 혁신 치료제의 신속한 도입 및 환자 접근성 확대를 위한 노력에 전념하고 있다.


■일양약품, 창립 79주년 기념식 개최

일양약품(대표 김동연·정유석)이 올해로 창립 79주년을 맞아 그간 이루어 낸 성과 및 노력에 대해 임직원을 격려하고 새로운 비전을 향한 출발을 결의했다.

일양약품은 창립을 기념하며 “창립 이래 79년 동안 꿋꿋하게 도전하고 열정과 노력으로 회사 발전에 기여해 준 임직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함을 전하며, 끈기와 집념으로 역량을 결집하여 끊임없이 혁신하고 도약하는 일양약품으로 만들어 가자”고 전했다.

이와 함께 “불확실한 미래에 도전해 온 일양약품의 사명감으로 지속 생존이 가능한 경쟁력을 갖추고 모든 부서와 조직원이 긴밀한 협력으로 더 나은 기업으로 성장해 가는 일양약품이 될 수 있도록 하자”고 결의를 다졌다. 

한편 일양약품은 79주년 창립기념일에 맞춰 장기근속 사원에 대한 포상을 실시했다.


■GSK 트렐리지200 엘립타, ETHA 임상 통해 중등도 중증 천식환자에서 소기도 장애에 미치는 영향 결과 확인

한국GSK는 지난 4월 유럽 호흡기 학회 학술지 (ERJ)에 게재된 임상연구 ETHA(Evaluation of Triple Therapy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Asthma)에서 중등도-중증 천식 환자 대상 트렐리지200 엘립타 투여 시 소기도 장애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i.
 
이번 임상연구는 단일군 연구로 이전에 2중 복합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장기 작용 베타2-작용제 (ICS/LABA) 치료를 받았으나 조절이 되지 않는 18-75세 천식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1초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강제호기량)이 35% 이상 80% 이하, 천식 조절 설문 점수(ACQ-6)가 1.5 점 이하인 조건을 충족했다.
 
이번 ETHA 연구는 129Xe MRI와 진동 측정법을 이용해 '트렐리지200 엘립타(성분명 플루티카손푸로에이트/유메클리디늄/빌란테롤, FF/UMEC/VI) 삼제 요법이 소기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6주간 FF/UMEC/VI 치료를 진행한 후 MRI VDP(Ventilation defect percent, 환기 결함 비율), FEV1, 천식 조절 및 삶의 질(Quality of Life) 부문에서 개선이 관찰됐다.
 
연구에서는 ICS/LABA로 조절이 되지 않던 중증도 중증 천식환자들에게 FF/UMEC/VI를 투여한 결과, 6주 후 VDP(P=.02), FEV1(P=.008), 소기도 저항 측정값(R5-19; P=.001), 삶의 질을 평가하는 환자설문조사(AQLQ; P<.001), 세인트조지 호흡기설문지(SGRQ; P=.001)가 유의하게 개선됐으며 이러한 개선 효과는 1년까지 지속됐다. 폐기능 개선 결과는 이전 트렐리지 임상 3상 CAPTAIN 연구와 일관된 것으로, 트렐리지의 임상적 유용성을 다시 한번 입증하게 되었다.
 
또한 2중 복합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장기 작용 베타2-작용제(ICS/LABA) 치료에도 불구하고 천식 조절이 어려운 환자에게 FF/UMEC/VI 투여로 기도 구조와 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현아 한국GSK 의학부  총괄은 “이번 연구 결과 트렐리지200 엘립타 투여 시 6주 차에 확인한 VDP와 FEV1 개선 효과가 12개월 후에도 지속됐으며, CT 기도 지표 또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중등도 중증 천식 환자에게 트렐리지200 엘립타가 3제 요법 중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자리매김할 것임을 시사한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를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치료 환경 개선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유한양행,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PROGRESS AND INTEGRITY’ 발간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지난 6월30일 재무성과를 포함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전반의 성과와 계획을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PROGRESS AND INTEGRITY’를 발간했다. 유한양행은 2022년부터 이해관계자와의 투명한 소통을 위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발간해오고 있다.

올해 보고서에는 △매출 2조원 돌파 △레이저티닙(국내명 렉라자, 해외명 라즈클루즈) 병용요법의 미국 FDA, 유럽 EMA 승인 등 R&D 성과 △ESG위원회 설치 등 지배구조 개선 △기후변화 대응 및 생물다양성 보존 등 주요 지속가능경영 활동이 담겼다. 또한 유한양행은 R&D 강화, 윤리 및 준법 경영, 인재육성, 이사회 운영, 안전보건 등 15개 중요 이슈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과 성과를 공개했다.

조욱제 대표이사는 “유한양행은 창립 100주년이 되는 2026년을 앞두고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혁신 신약 개발, 윤리경영, 인재 성장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며 “앞으로도 인류의 건강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책임 있는 기업으로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해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GRI(글로벌 보고 이니셔티브), SASB(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 헬스케어 산업 기준 등 국제 공시 기준에 따라 작성됐다. 또한 한국경영인증원으로부터 제3자 검증을 완료해 정보의 신뢰성을 강화했다. 보고서는 유한양행 공식 홈페이지 및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유한양행은 2024년 말 S&P Global이 발표한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KOREA에 2년 연속 편입됐으며 2025년에는 MSCI ESG 평가에서는 A 등급에서 AA 등급으로 상향됐다. 또한 서스틴베스트 ESG Best Companies 100대 기업 중 2조원 이상 상장사 부문 4위에 선정되는 등 ESG 분야에서 국내외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휴온스그룹, 하반기 임원 인사 실시

휴온스그룹은 1일자로 휴온스글로벌을 비롯한 계열사의 하반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다음은 승진자 명단이다.

<부사장>   ◇휴온스글로벌·휴온스 윤인상
<상무이사> ◇휴온스글로벌·휴온스 손민아
<이사대우> ◇휴온스 이승현 ◇휴온스 박언정 ◇휴온스 이태진 ◇휴온스 한태용


■일동제약

 

△OTC부문 약국영업2본부장 상무이사 서승욱


■태극제약, ‘2025 대구 약사 팜페어’에서 탈모 의약품 ‘미녹시딜 바이그루트’ 집중 조명

태극제약이 지난 6월20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5년 대구 약사 팜페어 및 연수 교육(이하 대구 팜페어)’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구 팜페어에서는 실무에 도움이 되는 복약 상담 사례 중심의 부스 운영을 통해 약사들의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으며, 대표 제품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특히, 기미 치료제 ‘도미나크림’과 함께 탈모 치료제 브랜드 ‘미녹시딜 바이그루트’ 시리즈 제품이 소개됐다.
 
‘미녹시딜 바이그루트겔5%’는 롤온 타입의 겔 제형으로, 액상 제품 특유의 흘러내림 없이 탈모 부위에 직접 바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크게 높인 제품이다.
 
태극제약 담당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통계(2020~2023년, 탈모 상병코드 기준)에 따르면 탈모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연간 약 30만 명 수준이며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며 “미녹시딜 바이그루트액5%와 미녹시딜바이그루트겔5%는 남성형 탈모증(안드로젠 탈모증) 효능효과를 가진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일반 의약품”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태극제약은 도미나크림 외에도 △흉터치료제 ‘벤트락스겔’ △멍치료제 ‘벤트플라겔’ △여드름 흉터치료제 ‘아크스카클리어겔’ 등 피부 질환에 효과적인 다양한 일반의약품을 약국에 유통하고 있다.

회사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팜페어 참가를 통해 지역 약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자사의 일반의약품에 대한 이해를 높일 계획이다.

 

■신라젠, 우성제약 흡수합병 완료···제약사업부로 통합 운영

신라젠(대표 김재경)이 지난 4월 이사회에서 결의한 우성제약과의 소규모 흡수합병 절차가 마무리됐다고 금일 공시했다. 이번 합병은 신라젠이 존속회사, 우성제약이 소멸회사가 되는 100% 자회사 흡수합병 방식으로, 신주 발행 없이 진행됐다. 

합병 이후 우성제약은 신라젠 내 제약사업부로 운영된다. 우성제약은 3차 병원 등 국내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한 수액제 공급에 강점을 가진 제약사로, 연 매출 약 80억 원 규모의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해 왔다. 특히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뉴아미노펜프리믹스주’ 등 소아 적응증을 확보한 수액제를 중심으로 시장 내 입지를 확고히 하고있다.
신라젠은 이번 합병을 통해 수익 기반 다변화와 연구개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우성제약이 개발 중이던 세계 최초의 '덱시부프로펜' 수액제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해당 품목은 정부 지원 과제로도 선정돼 조기 상용화 가능성이 주목된다. 신라젠 관계자는 “이번 합병은 단순한 조직 통합을 넘어, 제약 사업 확장을 위한 전략적 전환점”이라며 “우성제약의 제품과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개량신약과 주사제 분야 경쟁력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신라젠은 이번 합병을 통해 확보한 제약사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실적 안정성과 경영 효율성 제고에 나선다. 오는 3분기부터는 우성제약의 매출이 신라젠 연결 실적에 반영될 예정으로, 상장 유지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물론 성공적인 사업 다변화의 기틀을 갖추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