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17:46 (수)
안전한 ‘비만대사수술’ 위해 각 분야 전문가 모였다
안전한 ‘비만대사수술’ 위해 각 분야 전문가 모였다
  • 김광주 기자
  • 승인 2021.06.09 11: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노원을지대병원 외과 이주호 교수
비만대사수술 ‘다학제팀’ 구성해 수술 전후 관리 체제 갖춰

비만은 당뇨병 등 수많은 질환을 동반하며 현대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심각한 질병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 인구의 13%는 비만 환자이고 당뇨병 환자의 80%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다.

하지만 비만을 ‘질병’으로 인식하고 고도비만과 대사질환에 대해 비만대사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은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일반인들로서는 ‘살 빼려고 수술까지 해야하나...’, ‘비만수술은 매우 위험하다는데...’라고 생각하고 비만을 이유로 몸에 칼을 대는 데 여전히 부정적일 수 있다는 얘기다.

노원을지대병원 이주호 교수
노원을지대병원 이주호 교수

이러한 우려에 대해 비만대사외과 전문 의료진들은 ‘준비된 외과의사와 기관에서 수술을 받으면 안심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최근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이주호 교수<사진>는 ‘환자가 안심하고 비만대사수술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로 비만대사수술을 위한 ‘다학제팀’을 구성했다. 이에 본지는 노원을지대병원 이주호 교수를 만나 비만대사수술의 안전성과 다학제팀의 필요성에 대한 견해를 들어봤다.

이주호 교수는 우선 비만대사수술에 대해 “현재로서 유일한 고도비만의 치료법이며 당뇨병을 완치시킬 수도 있다”며 “수술로 위장관의 구조 변화를 일으켜 충분하고 장기적인 체중 감소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비만과 관련된 동반 질환을 치유 또는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비만대사수술 각 분야 전문의들로 다학제팀을 구성하여 관련 진료과들과 유기적인 협진 체제를 구축하고 수술 전후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전신적인 위험 요소들을 놓치지 않겠다고 말했다. 비만이 온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기가 없다는 점을 고려해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 요소들을 예방하고 대비하겠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비만은 만성적이고 전신적인 진행성 질환”이라며 “수술 전후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소와 전신적인 문제들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대비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각 환자 특성에 맞게 서로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의 다학제팀에는 외과와 가정의학과, 내분비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소화기내과, 정신건강의학과,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등의 교수진과 전문코디네이터, 임상영양사, 운동처방사까지 합류한다.

이 교수는 비만대사수술의 안전성에 대해 흔히 맹장수술로 불리는 충수염 수술만큼 안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현재 비만수술의 합병증과 사망률은 우리 외과에서 흔히 하는 충수염이나 담낭 수술보다 나쁘지 않다고 보고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이론과 경험을 겸비한 외과의사와 준비된 다학제팀에 의한 환자 관리'에서 나올 수 있는 결과”라며 다학제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다학제팀에 의한 치료 결과의 향상은 많은 연구를 통하여 이미 입증되었다”고 부연했다.

비만대사수술은 이주호 교수가 비만대사외과학회 회장으로 역임하던 2019년부터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도 포함됐다. 이 교수는 “하지만 국민 전체의 공감대를 형성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며 “2019년 급여화 이후 비만대사수술이 많이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아직 비만대사수술이 필요한 대상 환자 중 0.17%만이 수술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비만대사수술에 대해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인식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술을 하고 있으며 7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이 필요한 사람 중 1%도 수술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주호 교수는 “미국의 경우에도 비만대사수술에 대한 오랜 역사 동안 대중에 대한 지속적인 계몽과 교육에 힘써왔지만 일반인들이 충분히 이해하고 받아들이기까지는 아직 벽이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학회, 정부, 그리고 언론의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홍보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