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20:55 (금)
치매진단에 선행하는 뇌의 퇴행성 위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발견
치매진단에 선행하는 뇌의 퇴행성 위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발견
  • 홍미현 기자
  • 승인 2024.01.22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변선정 교수 연구
치매 관련 상위 6% 국제학술지 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등재

노년기에 걸음걸이가 불규칙하게 변한다면 뇌의 퇴행성 변화도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변선정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 논문의 목적은 걸음걸이의 불규칙적인 정도(보행 변이성)와 치매 위험성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뇌 영역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행 변이성과 인지 기능에 동시에 연관성을 보이는 뇌 영역을 찾아 보행-인지의 공유 신경기질을 탐색했다.

연구진은 아직 치매가 발병하지 않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뇌영상 연구를 통해 보행 변이성이 높을수록 전체적인 인지 능력 및 기억력이 저하되고 좌반구의 측두엽, 내후각, 해마 주위, 방추형 및 언어 영역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뇌피질 두께가 얇아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뇌 영역들은 알츠하이머병에서 가장 먼저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영역들과 상당 부분 겹친다. 

변선정 교수는 “웨어러블 센서를 부착해 측정한 보행 변이성의 증가가 퇴행성 뇌 변화와 연관되어 있음을 밝혀냈다”며, “노년층 가족들의 걷는 모습이 규칙적이지 않고 리듬감이 떨어졌다면 뇌의 퇴행성 변화를 드러내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인지기능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 때는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한편, 변선정 교수는 2020년부터 웨어러블 센서 부착 후 진행한 운동검사로 경도인지 장애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부터 운동성 인지위험에 속하는 노인들의 치매 발병 위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발표로 학계에 명망이 높다.

특히 지난 12월에는 2023년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주관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이하 한빛사)’ 상위피인용논문 분야에 등재된 바 있다.

이 연구는 치매 관련 유명 국제학술지 ‘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Exploring shared neural substrates underlying cognition and gait variability in adults without dementia’의 제목으로 논문(IF: 9)을 발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