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16:26 (일)
2022년 골다공증 골절 43만4470명···2002년 대비 346.2% ↑
2022년 골다공증 골절 43만4470명···2002년 대비 346.2% ↑
  • 배준열 기자
  • 승인 2023.12.28 1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보공단, 골대사학회와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팩트시트’ 발간
20여 년 치 건강보험 빅데이터 활용한 공동연구 결과 발표

국내 골다공증 골절의 전체 발생 현황은 2022년 43만4470명으로, 2012년 32만3806명 대비34.2%(11만664명), 2002년 9만7380명 대비 346.2% (33만7090명)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7.8%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은 대한골대사학회(이사장 하용찬)와 공동연구를 통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02년부터 2022년까지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 골절 및 재골절 발생 현황’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남성은 2022년 10만5,366명으로 2012년 7만5895명 대비 38.8%(2만9471명), 2002년 2만2000명 대비 378.9%(8만3366명) 증가했다. 

여성은 2022년 32만9104명으로 2012년 24만7911명 대비 32.8%(8만1193명), 2002년 7만5380명 대비 336.6%(25만3724명) 증가했다.

지난 20여 년간 골다공증 골절의 전체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남성은 연평균 8.1%, 여성은 7.6%의 증가율을 보였다.

◆2022년 ‘골다공증 골절‘, 80대 이상에서 31%, 여성이 남성의 3.1배

2022년 기준 ‘골다공증 골절’ 환자의 연령대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골절환자 43만4470명 중 80대가 31.0%(134,549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6.3%(114,273명), 60대가 26.4%(114,886명), 50대가 16.3%(70,762명) 순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 1만5366명에 비해 여성은 32만9104명으로 3.1배 많이 발생하였고, 남성은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9.1%로 가장 많은 반면, 여성은 80대가 33.1%로 가장 많았다.

2022년 발생한 골절을 부위별로 살펴보면, 50대~60대에는 손목 및 발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척추 및 고관절 골절 발생이 증가했다.

남성 50대는 발목 골절이 28.4%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나, 60대부터는 척추 골절이 가장 많았다. 여성은 60대까지 손목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70대부터 척추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치명률 높은 ‘척추 골절‘ 및 ‘고관절 골절‘, 고령에서 급격히 증가

5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척추 골절은 인구 1만 명당 2018년 85.1명까지 증가 양상을 보이다가 2020년 77.9명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병 유행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다시 이전의 발생률을 회복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추세는 남녀에서 동일했으나, 여성의 척추 골절이 남성에 비해 2.8배 많이 발생했다.
 
연령별로 비교하면, 2022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50대 14.3명, 60대 48.1명, 70대 148.7명, 80대 이상 315.8명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고관절 골절의 발생은 50세 이상 인구 1만 명당 2010년 17.3명까지 증가한 이후 정체 상태를 보이다가, 2020년 16.6명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병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연도별 고관절 골절의 발생은 80세 이상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비교하면, 2022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50대가 2.0명, 60대 5.4명, 70대 22.1명, 80대 이상 100.7명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여성의 발생률이 남성보다 2.3배 높았다.

◆2021년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 남성 24.2%, 여성 15.7%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06년 18.9%에서 2020년 15.9%로 조금씩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1년 다시 18.2%로 높아졌다. 

성별로 살펴보면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21년 골절 환자 기준 남성이 24.2%로 여성 15.7%보다 1.5배 높았다. 

척추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20년까지 5.6% 내외로 유지되었으나 2021년에 6.3%로 높아졌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10.6%, 여성이 4.9%로 남성이 2.2배 높았다.

고관절 및 척추 골절의 1년 내 치명률은 2020년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다가, 2021년에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병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골다공증 골절 후 재골절 발생 양상을 분석한 결과, 모든 골절 부위에서 재골절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고관절 골절의 1년 내 재골절은 2012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정체 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척추 골절 후 1년 내 척추 재골절 발생률은 2021년 기준 7.7%이며, 척추 골절 후 모든 부위에서 재골절 발생률은 8.7%로 나타났다.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고관절 재골절 발생률은 2021년 기준 0.9%이며, 고관절 골절 후 모든 부위에서 재골절 발생률은 3.0%로 나타났다.

◆골절 발생 후 골다공증 약제 처방률은 35.5%, 여성이 남성의 2.5배

골다공증 골절의 관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골절 발생 후 골다공증 치료약제 처방률을 분석하였다. 지난 20여 년간 골다공증 골절 발생 환자에서 골다공증 치료 약제 처방률은 골절 후 1개월 내에 22.0%, 3개월 내 28.9%, 6개월 내 32.2%, 1년 내 3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제별로 살펴보면 골절 후 1년 내 처방률은 비스포스포네이트가 30.8%로 가장 높고, 데노수맙 3.3%,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2.9%, 부갑상선호르몬제 0.7%, 로모소주맙 0.1% 순이었다.

골절 발생 후 1년 내 약 처방률은 남녀 모두 연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21년 기준 남성이 18.7%, 여성은 46.9%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5배 높았다.

골절 부위별로 살펴보면 골절 후 1년 내 약 처방률은 척추 골절에서 52%로 가장 높았고, 발목 골절이 15%로 가장 낮았다. 

골다공증 골절은 골절 이후 높은 재골절률, 장해 발생 및 사망률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심각한 삶의 질 저하, 의료비용 및 사회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중증 노인성 질환으로,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나라에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미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선진국들은 골다공증 골절의 수술적 치료뿐만 아니라 이후 재활 및 요양 관리 등에 천문학적 사회경제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향후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사회경제적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사료된다.

뼈가 약해진 골다공증 골절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골절 발생 위험이 증가하며, 골다공증 골절은 한 번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재골절로 이어진다. 따라서 초기 골다공증 관리에 실패하여 골절이 발생한 환자들에게 재골절 예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골절 및 재골절 예방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적극적인 골다공증 치료다. ‘골흡수 억제제’, ‘골형성 촉진제’ 등 골절 발생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적인 약물들이 다양하게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골절 경험이 있거나 없는 환자 모두에게서 골절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남성의 골다공증은 여성에 비해 흔하지는 않으나, 골절로 인한 사망률은 더 높아서 특히 우려되는데, 환경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적극 관리해야 한다. 약물 치료는 골절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골다공증 약물치료와 함께 골절 이후의 재활 치료를 포함한 운동요법, 낙상위험 방지, 식이 및 영양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칼슘과 비타민D를 중심으로 하는 식이요법, 적당한 근력운동의 지속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골밀도를 높이면 튼튼한 뼈와 함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보낼 수 있다. 

골다공증 골절을 한 번 경험한 환자들은 재골절 위험이 크므로 별도의 재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선진국에서는 재골절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골절 고위험군을 별도로 관리하는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과 같은 정책 서비스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참고하여 우리나라도 보다 적극적인 골절 및 재골절 예방 정책이 필요하다. 

정기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이번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팩트시트 2023 발간으로 골다공증 골절이 예방 가능한 건강 문제임을 환기하고, 예방정책의 초석을 다지는 뜻깊은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공단은 앞으로도 여러 공공‧민간 기관들과 더욱 폭넓은 협력으로 국민의 건강증진과 권익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