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16:26 (일)
‘인력·인프라’ 모두 잇는다···심뇌혈관 진료자원망 전국 구축
‘인력·인프라’ 모두 잇는다···심뇌혈관 진료자원망 전국 구축
  • 박예지 기자
  • 승인 2023.08.01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 지난달 31일 발표
심근경색·뇌졸중 골든타임 사수 비율, 2027년까지 10% 향상 목표
권역센터 최소 10개소 이상, 지역센터 4~50개소까지 지정 계획

보건복지부는 오는 2027년까지 심뇌혈관질환 진료 자원 네트워크를 전국 의료 이용권에 100% 구축해 골든타임 내 병원 도착 비율을 현재 50% 수준에서 6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심뇌혈관센터 수를 늘리고 연계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소속 의료기관을 뛰어넘는 전문의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해 적정 이송 속도를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발표된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에 따르면 현재 심뇌혈관질환 통합 진료권은 총 24개지만 권역심뇌혈관센터는 14개소에 불과하다. 이에 복지부는 2027년까지 권역센터를 최소 10개소 이상 추가 지정하고, 지역센터 또한 4~50개소까지 신규 지정해 촘촘한 대응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센터 수 확대와 더불어 ‘심뇌혈관질환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신속한 최종치료 연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소속 의료기관에 관계없이 최소 7명 이상의 전문의로 구성된 ‘전문의 네트워크팀’이 구성되어 급성심근경색증, 뇌졸중, 대동맥박리 대응 시간 단축에 나설 예정이다. 네트워크팀은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응급의료센터, 최종치료 전문의가 환자를 의뢰하면 해당 시점에서 치료가 가능한 전원·이송 병원을 신속하게 결정한다.

전문의 네트워크팀에 대한 사전보상 규모는 1.92억원, 성과에 따른 추가 보상은 최대 사전보상의 40%, 즉 8200만원 수준이다. 구성·운영 비용은 사전에 100% 보상하고, 추후 치료율 성과에 따라 사전 보상비의 최대 약 40%까지 추가 보상한다.

각 구성원들은 △의뢰건수 대비 응답 비율 △평균 응답 소요시간 △의사결정 소요 시간 등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정산을 받게 된다. 의료행위 수가와는 별개다. 특히 대동맥박리 수술 등 전국적으로 의사가 적은 분야에 대해서는 전국적 네트워크를 구축될 예정이다.

아울러 병원끼리의 네트워크도 구성된다. 권역센터를 중심으로 참여의료기관 3~6개소, 119구급대가 협력해 현재 20% 수준인 지역 내 최종치료율을 개선시킨다는 계획이다. 권역센터는 네트워크 총괄, 24시간 365일 응급환자 시술, 중증 및 전원 환자 치료, 참여병원 시술 불가 시간대 지원 등 역할을 한다. 지역센터와 참여병원은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에 대한 응급 시술을 수행하고, 중증환자 발생 시 권역센터와 협진한다.

보상 수준은 네트워크당 최소 5.7억원에서 최대 11.7억원이다. 이 중 50%는 사전에, 나머지는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사후정산 형태로 지급된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지난 1차 계획은 예방·관리에는 일부 성과가 있었으나 중증·응급진료 지원과 정책 기반 확장에는 미흡했다는 한계가 있었다”며 “2차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또 다른 필수의료 문제 해결에 대안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