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20:55 (금)
핵의학과도 ‘전공의 부족’ 호소···2년간 지원율 18% 그쳐
핵의학과도 ‘전공의 부족’ 호소···2년간 지원율 18% 그쳐
  • 박예지 기자
  • 승인 2022.11.07 1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ET 급여 축소 이후 지원율 추락···4일 제61차 추계학술대회 개최
국외 핵의약품, 제도 없어 못 써···원정길 오르는 난치암 환자들

핵의학과에서도 전공의 부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를 우려하고 있다. 지난 2년간 핵의학과 전공의 지원율은 18.8%로 16명 정원에 단 3명이 지원했다. 지난 2010년 지원자가 80명이었던 데에 비하면 심각한 급감 추세다. 전문의 정년퇴임을 감안하면 향후 10년간 최소 60여명의 전문의가 배출되어야 하는 상황임에도 지원율은 그 절반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대한핵의학회는 지난 4일 일산 킨텍스에서 제61차 추계학술대회 및 제21차 아시아핵의학협력기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기자간담회 자리를 마련해 이같은 핵의학계 현안을 알렸다.

핵의학과 전공의 지원율 급감은 지난 2015년 시작됐다. 2014년 PET검사의 요양급여기준이 축소되면서 일자리가 불안해졌기 때문이다. 종합병원 이상급에서만 운영되고 있는 핵의학과의 특성상 전문의가 되더라도 일할 곳이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전공의들에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박정미 수련교육이사(순천향부천병원)은 “직업안정성 문제와 더불어 최근 전공의들이 개업할 수 있는 과를 선호하는 경향도 지원율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며 “또 연차별 전공의가 부족해 수련 과정이 불편하겠다는 인식과 함께 합격률이 10%대로 저조한 ‘방사선안전관리특수면허’ 취득 부담도 주요 요인이다”라고 지원율 감소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학회에서는 수련 환경을 개선하고, 진료 영역을 넓히고자 힘쓰고 있다. 지도 전문의 수 확대, 대한병원협회 주관 ‘전공의 연차별 수련교과과정 개발 공모사업’을 통한 수련 과정 개편, 해외 시행 치료·검사의 국내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어 학회는 핵의학 방사성의약품 개발과 임상 적용 과정에서의 제도상 제한으로 국내 환자들이 치료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진행성 신경내분비종양,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등 희귀 난치함 환자들은 치료 관련 국내 제도가 없어 해외 원정치료를 떠나고 있다. 제도 미비로 의사들은 충분한 기술력이 있음에도 치료를 시도할 수 없고, 원정을 떠난 환자들은 타국에서 의료사고를 당하기도 하는 등 제도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독일, 호주 등 해외에서는 의약품을 특정 환자에 대해서만 승인받아 사용하는 ‘Named Patient program’제도를 통해 말기 암환자에 대한 동정적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개발 단계 의약품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목적사용승인제도’가 있으나, 국내 임상시험승인을 받은 의약품으로 그 대상이 한정되어 있다.

이때문에 해외에서 개발 및 임상 사용 중인 의약품을 국내에서 활용할 방안은 전무하다. 20대, 21대 국회에서 해외 승인 및 임상 의약품의 치료 목적 승인 관련 법안이 발의됐으나 제정 문턱을 넘지 못했다.

강건욱 신임 회장은 “독일에서는 소수의 희귀난치병 환자에 한해 병원에서 만든 의약품을 투여하고, 효과가 있다면 비용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다. 수익성이 없는 희귀병 의약품 특성상 마련된 것”이라며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외 임상 의약품도 활용할 수 없어 ‘액티늄(알파치료제)’ 치료를 위해 환자들이 독일로 원정을 가고 있다”고 제도적 한계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독일에서는 핵의학 의약품을 통해 한 명을 치료할 때마다 약값 2000만원, 의사 급여로 2000만원이 지급된다”며 “직업안정성 문제는 수익과도 연결되어 있어 인력 확보를 위해서는 급여 측면에서도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민정준 전 회장은 “우리나라 핵의학 수준은 세계 상위권”이라며 “제도적 부분만 보완된다면 세계 핵의학을 선도하는 수준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