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16:26 (일)
흡연 사망자, 코로나19랑 맞먹는데···“민간 금연지원사업 키워야”
흡연 사망자, 코로나19랑 맞먹는데···“민간 금연지원사업 키워야”
  • 조은 기자
  • 승인 2022.07.19 13: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입원환자·폐암검진자 지원, 국내 금연치료지침 마련 등
‘포스트 코로나, 금연지원사업 강화 토론회’서 논의
‘포스트 코로나시대, 금연지원사업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발제하는 이철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이훈재 인하의대 사회의학교실 교수 

코로나19로 인해 축소된 금연사업을 키우기 위해서 민간 병의원 지원을 늘리고 흡연의 객관적 피해를 입증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19일 ‘포스트 코로나시대, 금연지원사업 강화를 위한 정책’ 국회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같이 밝혔다.

신종담배 사용자의 80% 이상은 궐련,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 등 다중담배 사용자다. 다중담배 사용자는 단독 사용자보다 니코틴에 중독될 위험이 높지만, 신종담배가 등장하면서 금연 시도와 계획은 점점 줄고 있다. 

일선에서 금연진료를 해오고 있는 이철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에 따르면 코로나19 기간 금연의 움직임은 초토화됐다. 보건소 금연지원사업이 중단됐는가 하면 민간 병의원의 금연치료지원사업 등록자도 2019년 29만명에서 2021년 18만명으로 줄었다. 특히 3, 40대 궐련 흡연자의 금연 시도가 눈에 띄게 줄었다.

이 교수는 “코로나19 기간 금연지원 서비스가 위축된 원인은 금연사업이 공공 주도 혹은 공공서비스이기 때문”이라며 “공공과 민간 영역을 적절히 배분한 서비스 기능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금연치료 인력이 감소하는 것도 문제지만 금연치료에 드는 행정 비용 해결과 금연치료제의 급여화가 필요하다”며 “현재는 금연할 수밖에 없는 입원환자와 폐암 검진자를 타겟으로 한 지원도 저조하다. 금연 준비가 돼 있는, 제 발로 찾아오는 흡연자를 놓치지 않을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자 입장에선 보건소보다 병원 접근성이 좋기에, 병원에 방문한 환자가 의료진을 만나는 순간이 금연을 시작할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의사들이 담배에 대해 질문하고 금연 현황을 상담하는 등의 티쳐블 모멘트(Teachable Moment)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게 이 교수 견해다. 

이 교수에 따르면 한국은 대다수 선진국에 이미 마련된 금연치료지침도 부재하다. 금연 보조제 등 어떤 약을 어떻게 사용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지, 어떤 약과는 같이 쓰면 안 되는지 등 국가적인 금연치료지침이 없는 상태다. 하나의 지침으로 민간과 공공(보건소 금연클리닉, 전화상담, 지역금연지원센터)사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흡연의 객관적 피해를 명확히 입증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다음 발제에 나선 이훈재 인하의대 사회의학교실 교수에 따르면 지난 2년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전 세계적 사망자가 630만명대다. 이는 매년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와 비슷한 수치다. 우리 삶을 위협하는 건강 요인을 인식하고자 한다면,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금연을 포기하는 것은 타당치 않다. 

이 교수는 8년째 서울 시내 한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장을 연임하고 있다. 이 교수는 “아파트는 흡연권과 혐연권이 충돌하는 대표적인 곳”이라며 “흡연자들은 자기 소유 주거공간에서의 흡연을 금하는 것은 과하다고 항의하지만, 코로나19로 개인 자유보다 공중 보건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 교수 연구팀이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흡연 민원이 많이 발생한 아파트 엘리베이터에서 고농도의 니코틴이 검출됐고, 흡연자 이웃 아이들의 체내에서 담배 발암물질의 검출량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흡연권과 혐연권의 충돌 이상의 공중 보건 문제를 시사한다. 흡연의 직·간접 피해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수립해, 공동주택에서의 금연을 주장해야 한다고 이 교수는 말했다.

국내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선 캠페인보다 금연을 결심했지만 헛발질하는 이들을 전문 서비스로 끌고와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흡연 등 만성질환은 의학적 치료만큼이나 개인 라이프 사이클, 사회 분위기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이 교수는 “캠페인을 통해 등록한 금연 시도자는 성공률이 낮지만, 어떠한 동기로 직접 금연을 결심한 경우 성공률이 올라간다”며 “흡연자의 금연의지와 금연상담사의 역량이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보건소 금연상담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보건복지부 측은 오는 8월 내로 새로운 금연지침서를 발표할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에 금연치료 임상지침을 개발하고 연내로 의료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