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20:55 (금)
“서울시·市의사회 손 잡아야 감염병 예방 지름길”
“서울시·市의사회 손 잡아야 감염병 예방 지름길”
  • 이재갑
  • 승인 2019.04.15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역당국 전문가 절대적 부족…법적기준 마련 재정지원 필수
서울시의 `감염병 협력위원회' 중추적 역할 성공적 모델로
이재갑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의 유행, 2015년 메르스의 병원간 전파로 인하여 시민들의 감염병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방역을 담당하는 정부의 여러 기관들과 의료기관의 책임도 더욱 커지게 되었다.

2015년 메르스를 겪으면서 우리나라의 감염병 전문가들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에 대하여 절실히 느끼게 되었는데 그 당시 감염내과 전문의가 전국에 200여 명이 안되었고 소아감염 전문의도 70여 명에 불과하였다. 예방의학 전문의 중 감염병 전공자도 많이 부족하였다. 민간 전문가들의 숫자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방역 당국에 근무하는 감염병 전문가들의 숫자도 많지 않았다.

이러한 전문가의 절대적인 부족상황 때문에 오히려 방역당국과 민간전문가들이 협업이 더욱 강조되고 있고 협업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감염병 대비 역량의 강화를 위한 여러가지 사업들이 시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와 전문가들의 협력만이 아니라 지자체와 시도의사회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서울특별시와 서울특별시의사회의 서울시감염병협력위원회이다.

2015년 메르스 발생 당시 서울시와 서울시의사회의 협력을 통해 슬기롭게 메르스의 위기를 이겨낸 후 상시적인 협력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서울시감염병협력위원회는 서울시, 서울 소재 대학병원, 공공의료원, 대한감염학회 등이 MOU를 맺고 서울에서 발생하는 신종/재출현 감염병에 대하여 공동으로 대처하기로 뜻을 모아 2016년에 설립되었다. 이 위원회는 연간 1∼2회의 정기 회의를 통하여 감염병에 대한 정보교류, 일선 기관들의 감염병 대응을 위한 건의사항 청취, 서울시 감염병 정책 등을 논의하고 있다.

서울시의사회는 서울시감염병협력위원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면서 서울시의 감염병 대응 관련 용역사업을 위탁받아 2016년부터 3년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하여 서울시의사회는 서울시민의 신종감염병 대비를 위한 홍보사업, 서울시 의사회원에 대한 감염병 교육, 의료기관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동영상 제작, 서울시 감염병 훈련의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과 같은 다제내성균의 의료기관사이의 전파와 의료기관내 확산도 심각한 상황이다. 2017년 6월 CRE가 3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약 1년 동안 서울시내 의료기관에서 수집된 신고건수가 4000건을 넘어섰다. 신고건수가 폭주하고 의료기관내 다양한 유행상황이 보고되고 있으나 적은 수의 서울시 역학조사관만으로는 이 상황을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2018년 10월부터 서울시와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중소병원감염관리자문네트워크(www.iccon.co.kr)는 `병원급 의료기관 CRE 유행 관리를 위한 실태조사 및 병원 방문 컨설팅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서울시내 중소병원과 요양병원에서 CRE 유행이 신고되면 서울시 역학조사관이 역학조사를 시행하고 해당병원이 컨설팅을 의뢰하면 민간 감염관리전문가(감염내과, 감염관리간화사)들이 병원을 방문하여 CRE의 유행이 종식될 때까지 감시배양과 환경관리를 포함한 감염관리 자문을 시행하고 있다. 4월말까지 24개 의료기관에 대한 자문을 시행할 예정이다.

신종감염병과 다제내성균과 같은 감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와 서울시의사회, 서울시와 감염관련 전문학회 등의 협업 모델은 아직까지 다른 지자체에서는 보기 드문 사례로 현재까지 진행된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다른 지자체의 롤모델로 사용되기를 희망한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각 지자체의 감염병 역량 강화를 위하여 지자체 - 민간전문가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법기준마련과 재정지원을 늘려 주기를 부탁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