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16:26 (일)
당뇨병 환자 10명 중 9명, “당뇨병 경증질환 분류 말도 안돼”
당뇨병 환자 10명 중 9명, “당뇨병 경증질환 분류 말도 안돼”
  • 홍미현 기자
  • 승인 2011.09.30 12: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회, 내달 1일부터 시행되는 당뇨병 환자 약값 상승에 대한 우려 제기

당뇨병 환자 10명 중 9명은 ‘약국 본인부담률 차등 적용 대상’에 당뇨병이 포함될 수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또 본 제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당뇨병 환자 2명 중 1명은 정책 시행 방안에 대해 인지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박성우)가 의료 전문 리서치 기관인 MARSlab.에 의뢰해 진행한 당뇨병 환자 510명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서울지역 병원 8곳을 내원한 당뇨병 환자와 한국당뇨협회(회장: 김선우)에서 주최한 당뇨캠프에 참석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당뇨병 환자, 약값 본인부담률 차등 적용 정책에 부당함 호소해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85.5%는 본 제도로 인해 같은 약에 대해 병원 종별로 다른 값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에 부당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82.5%는 의원에서 진료의뢰서를 발급하여 종합/상급병원을 방문하더라도 다른 약값을 지불하는 것에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본 제도를 시행하는 취지가 대형병원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함에 있다는 점에 대서는 오직 10.6%만이 ‘합당하다’고 답변했다. 결국 본 제도에 대한 취지와 시행방안에 대한 당뇨병 환자들의 강한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당뇨병, 가벼운 질환도 아니며 의원역점질환으로 구분될 수 없어
당뇨병이 경증질환으로 분류되어 의원역점질환으로 결정되었지만,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인 89.8%는 당뇨병이 심각한 질환이라고 응답했다.

당뇨병은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고 (64.3%), 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18.0%), 완치가 불가능한 질환 (15.1%)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설문조사의 참여자의 93.5%는 본 제도의 예외 대상인 인슐린 투여 환자, 산증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 외의 당뇨병 환자도 중증 질환 환자로 구분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실제 설문조사 참여자의 33%는 합병증을 한 개 이상 가지고 있었고, 합병증 유무와 상관없이 전체 환자의 86.8%가 합병증 발생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응답자의 평균 당뇨병 유병기간은 11.5년이며, 67%가 당뇨병을 진단 받은 지 5년 이상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합병증 동반과 긴 유병기간으로 인해 이미 당뇨병 환자의 71.2%가 약값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당뇨병 환자, 본 제도 시행 되도 기존 병원 선택 고수
특히, 응답자의 70.4%는 약값 인상에 대한 부담감이 있어도 기존 병원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합병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해” (37.0%), “전문성 및 신뢰감 때문에” (30.9%) 등 약값과 관계없이 효율적인 치료가 먼저라는 입장이었다. 약값이 비싸지면 의원급 병원으로 선회하게 될 것이라는 제도 시행 취지와는 다른 반응이었다.

박성우 이사장은 “당뇨병 환자들은 약 복용만으로 치료가 잘 되지 않는데다 합병증 위험이 높은 것은 물론 질환 특징 때문에 보험 가입도 힘들어 다른 환자에 비해 치료비 부담이 더 크다”고 말했다.

그는 “환자들에게 또 하나의 부담을 주는 과정에서 당뇨병 환자 입장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것은 문제다”고 지적했다.

박태선 보험법제이사는 “당뇨병 환자들이 가장 원하는 의료는 합병증 예방과 효율적인 질병 관리로 드러났다. 환자들의 의료기관 선택 과정은 정부가 생각하는 도덕적 해이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박 이사는 “결국 정부의 약국본인부담률 차등제는 약값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갖게 되는 저소득층 환자들을 더 큰 합병증 위험으로 내모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학회는 회원들을 통해 별도의 환자안내문을 배포하여 제도에 대한 환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당뇨병 환자들의 치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예정이다.

홍미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