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8:06 (금)
노인장기요양기관 허술한 안전관리 '심각'
노인장기요양기관 허술한 안전관리 '심각'
  • 김태용 기자
  • 승인 2010.12.16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경북 포항의 한 노인요양원에서 할머니 10명이 유독가스에 질식해 사망하는 등 일부 요양시설의 서비스 질과 허술한 안전관리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노인요양시설은 2007년 1114개소였던 것이 2010년 10월 현재 1만4840개소(입소 3627, 재가 1만1213)로 노인장기요양보험 실시 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대상자 확대 정책에 따라 과잉공급과 입소자 유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서영준 교수는 포항 노인요양원 사건을 두고 현행 장기요양기관의 시설 및 인력 기준의 미비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오늘(16일) 오후2시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노인장기요양기관 이대로 좋은가!-장기요양시설 관리 강화를 위한 입법 토론회’서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전반적인 질 향상을 위한 제도와 규정의 재검토를 촉구했다.

서 교수는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인 장기요양 개설 절차로 인해 노인요양시설의 과잉공급이 초래되고 시설간 질적 편차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가정복지원, 간병도우미, 간호조무사, 간병인, 요양보호사 등 간병인력의 배출기준이 다양하고 관련법이 상이해 요양보호사의 과잉 공급과 질 낮은 교육기관의 문제점을 설명했다.

현재 장기요양기관에서 주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는 관련교육기관에서 240시간(1급), 120시간(2급)의 교육만 받으면 자격증이 발급된다. 이로 인해 금년 6월 기준 약 93만명이 자격을 취득했으며, 이중 26.4%만이 취업을 해 시간당 6000원~83000원으로 낮은 임금에 시달리고 있다.

장기요양시성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는 △인·허가 기준 강화 및 인증제 도입 △재난 및 응급상황 대비 기준 강화 △시설 질 평가 강화 △평가 결과에 따른 급여 가감지급 및 퇴출 등을 소개했다. 특히 서 교수는 장기요양시설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 호주의 예를 들며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토론에 나선 박진우 한국노인복지중앙회 회장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 수급자와 더불어 가족들의 삶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등 공적서비스이용의 확대를 가져왔다”고 평가한 반면 “외형적인 가시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많은 혼란과 우려가 제기되는 것은 제도 도입시 충분한 연구와 검토 없이 서비스 인프라 확보만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태용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