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뇌심부자극술’ 약물치료 병행하면 효과

박창규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뇌에 직접 전기 자극 주어 회로 변화 유도 수술

2019-01-09     김동희 기자

퇴행성 뇌신경질환으로 초고령화 시대 급증하고 있는 ‘파킨슨병’에 약물 치료와 ‘뇌심부자극술’을 병행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이 보고됐다.

박창규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1월12일 국제 뇌의 날을 맞아 운동 장애가 대표적인 증상인 ‘파킨슨병’에 대해 자료를 내고 “현재 파킨슨병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치료는 ‘약물’이다. 증상 대부분을 호전시킬 수 있으나 퇴행성 질환의 특성상 ‘완치’의 개념은 적용되지 않는다. 즉, 시간이 흐를수록 약물에 대한 반응과 효과가 감소하게 되고, 약물 증량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때는 뇌심부자극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뇌심부자극술은 뇌의 문제가 되는 운동회로에 직접 전기 자극을 주어 회로의 변화를 유도하는 수술이다. 이를 통해 운동증상을 개선하고 약물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물론, 약물 조절과 수술자극 조절이 동시에 이뤄져야 호전속도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이러한 이유로 파킨슨병은 신경과와 신경외과와의 협진을 토대로 다학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고 말했다.

박창규 교수는 “특히 파킨슨병 진단 시, 다른 퇴행성 뇌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기 때문에 영상검사 및 기타 신경학적 검사가 필요하다”며 “파킨슨병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약물 치료를 원칙으로 하나 환자별 약물 반응과 상호 작용 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최선의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 의료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파킨슨병은 뇌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병한다.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의 생성 및 분비가 저하되다보니, 뇌의 운동회로에 변화가 생긴다. 대표적인 증상은 행동이 느려지는 ‘서동증’, 몸이 뻣뻣하여 움직일 때 부자연스러운 ‘강직현상’, 손·발 떨림이다. 진행 정도에 따라 얼굴이 무표정해지거나, 말소리가 작아지고 거동 시 중심 잡기를 어려워하기도 한다.

박창규 교수는 “파킨슨병 이외에도 이상운동질환 중 근긴장이상증과 떨림증 또한 약물 치료로 호전이 되지 않을 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봐야 한다. 경미한 증상에서는 약물 치료만으로 생활에 문제가 없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물치료에 대한 효과가 점점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