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2:01 (금)
34개 지방의료원 중 20곳만 전공의 수련···이 중 13곳은 인턴만
34개 지방의료원 중 20곳만 전공의 수련···이 중 13곳은 인턴만
  • 배준열 기자
  • 승인 2021.10.19 1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개는 내외산소 등 개설 못해 수련 불가능···단독수련은 5곳뿐, 15곳은 모자수련

전국의 34개 지방의료원 중 20개소만 전공의 수련이 가능하고 그나마 이 중 13곳은 인턴 수련만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료원 자체 단독수련이 가능한 곳은 5개소뿐이고, 나머지 15개소는 다른 국립대학병원에서 전공의 파견을 받는 모자(母子) 수련협약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개 지방의료원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과목 개설을 하지 못해 수련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공공보건의료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거점의료기관인 지방의료원이 전공의 수련병원으로서 공공의료인력 양성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국회보건복지위원회 간사, 전주시병)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지방의료원 수련병원 운영 현황’에 따르면, 전국의 지방의료원 34개소 중 20개소만 전공의 수련병원으로 지정·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이 중 13개소에서는 총 37명의 인턴 수련만을 시행 중이었고, 대구·인천·전북군산·전북남원·충남홍성 의료원 5개소는 인턴 14명과 가정의학과 16명을 수련하고 있었다. 인턴과 함께 가정의학과 이외 레지던트 수련을 모두 운영 중인 곳은 서울의료원과 부산의료원 2개소뿐이었으며, 서울의료원은 인턴 20명, 레지던트 20명(13개 진료과목), 부산의료원은 인턴 9명, 레지던트 7명(3개 진료과목)을 수련하고 있었다.

의료원 자체 단독으로 수련을 하고 있는 곳도 서울의료원, 부산의료원, 전북군산의료원·대구의료원·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등 5개소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제외한 15개소는 국립대학병원 및 대형병원과 모자(母子) 수련제도 협약을 체결해 모병원에서 전공의를 파견받는 형태로 운영 중이었다.

모자(母子) 수련제도란, 모병원인 대형병원의 관리하에 지방의료원 등 소규모병원(子병원)에 전공의를 파견하는 제도로 지방의료원의 전공의 모집이 힘들고,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 필수과목이 해당 지방의료원에 개설되지 않은 경우 단독 수련이 불가능한 현실을 보완하기 위한 제도다.

실제로 김성주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각 지방의료원의 필수과목 개설 현황을 보면, 경기의료원 이천병원과 강릉의료원은 산부인과, 천안의료원은 소아청소년과, 순천의료원은 산부인과, 목포시의료원은 소아청소년과, 제주의료원은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가 개설되지 않았다.

또 작년에 국립대학병원에서 지방의료원에 총 44명의 의사 파견이 이루어졌는데 이 중 내과는 17명, 외과는 3명, 소아청소년과는 3명, 산부인과는 2명이었다. 특히 산부인과는 지난 5년간 파견 의사가 총 7명에 불과해 필수과목 중에서도 가장 적은 수였다.

복지부는 지방의료원의 전공의 수련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지난 6월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을 통해, 현행 모자 수련 방식을 수정·보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책임 수련병원(상급종합병원, 국립대학병원 등)과 참여 수련병원(지역 공공병원, 전문병원 등) 간 공동 수련 모형을 올해 안에 개발하고, 내년까지 관련 시범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김성주 의원은 여기에 더해 현행 국립대학병원의 지방의료원 의사 파견제도를 보다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그는 “지방의료원의 전체 파견 의사의 수를 확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필수과목 의사 파견을 보다 확충해야 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에 따라, 국립대학병원의 지방의료원 전체 파견 의료인력 지원을 2025년 80명까지 확대할 계획을 수립했는데, 이렇게 전체 파견의사만 확충할 게 아니라 필수과목 파견 의사 수를 확충해야 한다는 것.

김성주 의원은 “지방의료원이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병원 신·증축, 시설·장비 보강 등 양적 확충도 중요하지만, 인력 양성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