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7:59 (금)
거리두기 ‘3단계’ 격상 전망에 고민 깊어진 제약사들
거리두기 ‘3단계’ 격상 전망에 고민 깊어진 제약사들
  • 배준열 기자
  • 승인 2020.12.16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직은 재택근무 불가···“업계 특성 고려한 정부 맞춤형 가이드라인 필요”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강화 실시 가능성이 높아지자 제약업계에서는 경영난을 우려하며 업계 특성을 고려한 재택근무 가이드 라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3단계로 상향되면 민간기업도 필수인력을 제외하고 최대한 많은 인원이 재택근무를 하도록 행정명령이 발동된다. 사회 전체가 ‘락 다운’에 들어가는 셈으로, 의약품 생산과 영업에 큰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제약업계의 고민도 깊어지는 모습이다. 

사실 대부분의 제약회사들은 현 2.5단계에서도 필수인력을 제외한 나머지는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제약회사들의 주요 영업대상인 의료기관 측에서 영업사원들의 방문 자체를 달가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많은 병·의원들이 감염을 우려해 업무 특성상 의료기관의 방문이 잦은 영업사원의 ‘출입제한’을 알리고 있다.

문제는 필수인력이라 할 수 있는 생산직이나 일부 연구직이다. 이들은 업무특성상 재택근무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거리두기 단계가 3단계로 강화되더라도 실제로 재택근무를 실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이유로 2.5단계를 실시 중인 현재도 제약회사의 재택근무는 주로 내근직이나 영업직 일부에 국한되고 생산직은 최대한 재택근무를 자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3단계가 실시되면 ‘필수인력’을 제외하고 최대한 많은 인원이 재택근무를 실시한다는 것이 기본원칙이다. 이때 필수인력의 범위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제약회사들 사이에선 ‘필수인력’ 기준을 재설정해 최대한 늘리려는 논의가 한창인 것으로 알려졌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지난 13일 브리핑에서 “3단계 상향 시 민간기업에도 재택근무 행정명령을 발동하게 된다”며 “다만 필수인력 설정은 기업에 맡겨져 있고, 가급적 노사 간 합의를 거쳐 최소한의 필수인력만 남기고 나머지는 재택근무를 하도록 규정됐다”고 말했다.

다만, 필수인력 범위 설정을 기업 자율에만 맡겨놓을 경우 일부 기업에서 이를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해석해 현장에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때문에 정부가 차라리 업종별 특성을 고려해 구체화된 맞춤형 가이드라인을 내놔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국내 한 제약회사에서 공정업무를 담당하는 A씨는 “현재도 필수인력을 제외하고 대부분 재택근무를 실시하고 필수인력도 교대근무를 하며 현장 근무를 최소화하는 상황인데 여기서 더 줄이라는 것은 생산을 아예 중지하라는 것이나 다름 없다”며 “제약산업의 경우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고려해 정부가 맞춤형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현재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도 의약품의 생산과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