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9:45 (목)
빅데이터 활용, 코로나 이후 ‘뉴노멀’되려면···“국민 신뢰 구축이 우선”
빅데이터 활용, 코로나 이후 ‘뉴노멀’되려면···“국민 신뢰 구축이 우선”
  • 권민지 기자
  • 승인 2020.05.18 2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미래연구원, ‘코로나 대응 정보기술 활용법’ 기고문 게재
전병유 “공공선 위해 개인정보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문제”
“방역과 개인정보 보호 사이의 균형 있는 접근 필요”
전병유 한신대 사회혁신경영대학원 부교수.(사진=국회미래연구원)
전병유 한신대 사회혁신경영대학원 부교수.(사진=국회미래연구원)

코로나 이후 '뉴노멀'로 정착될 빅데이터 기술이 보다 발전하려면 개인정보의 공적 활용에 대한 국민 신뢰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미래연구원은 ‘코로나 대응 정보기술 활용법’이라는 제목으로 전병유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부교수의 기고문을 실었다.

전병유 부교수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만 등 코로나 방역에 상대적으로 성공한 국가들은 스마트폰 위치 추적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바이러스의 확산을 통제했다”면서 “방역을 위해 활용된 빅데이터 기술은 앞으로 정상적인 경제활동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면서 코로나19 이후의 뉴노멀로 정착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빅데이터에 대한 연구·개발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전 교수는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3개월만에 관련 논문이 2000편이나 나왔다”면서 “하버드와 MIT의 인공지능 센터는 방대한 데이터, 정부, 지식에서 더 필요한 부분을 선별해 연구 문제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통한 감염자 추적 앱 개발에 각국 정부와 민간 기업들이 너나 할 것 없이 투자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IT 기업인 구글과 애플도 기기의 호환성 문제를 극복하는 ‘스마트 기기 간 접촉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협력을 맺었다.

전 교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은 바이러스의 예방과 방역, 치료제.백신 개발에 분명 기여할 것”이라면서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에는 한계와 위험이 존재한다”며 경고한다.

가장 대표적으로 개인정보 보호문제가 있다. 전 교수는 “스마트폰을 통한 접촉자 확인과 정보 공유는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며 “공공선을 위해 어느 정도의 감시를 용인할 것인가의 문제”라고 짚었다.

그럼에도 전 교수는 “이번 코로나 팬데믹으로 개인정보에 대한 규제 조치가 완화되거나 재정의될 수도 있다”고 관측한다.

실제로 개인의 자유와 프라이버시를 매우 중시하는 프랑스 정부에서조차 변화의 움직이 일고 있다. 전 교수는 “(프랑스에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러한 개인 데이터를 정부의 중앙 서버에 이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바이러스 방역을 위해 타깃 수준이 더 높은 정보들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방역과 개인정보 보호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정보기술에 의존한 감시 시스템만으로는 바이러스 퇴치에 성공할 수 없으며 감염병 방역에 필수적인 것은 국민들의 신뢰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