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7:56 (금)
중앙임상위 "방역정책으로 ‘집단감염’ 제시한 것 아냐"
중앙임상위 "방역정책으로 ‘집단감염’ 제시한 것 아냐"
  • 배준열 기자
  • 승인 2020.03.25 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명자료 통해 논란 배경 설명···“단기간 통제정책으론 힘들다는 뜻”
세계 어느 나라도 이론 증명 위해 인구 60% 일부러 감염병 노출 안 해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지난 23일 기자회견에서 나온 오명돈 위원장의 발언이 ‘집단면역’을 코로나19 종식의 한 방법으로 표현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앞서 지난 23일 기자회견에서 오명돈 위원장은 “이론적으로 인구 60%가 면역을 가졌을 때 코로나19의 확산이 멈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이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에 임상위는 25일 해명보도자료를 내고 “판데믹(pandemic)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마련된 지난 23일 브리핑 내용을 인용하며 ‘집단면역’을 코로나19 종식의 한 방법인 것처럼 표현하는 일부 보도가 있어 이를 바로 잡는다”며 “오 위원장의 발언은 ‘집단감염’을 (해법으로) 제시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임상위는 “단기간의 통제정책으로는 이미 세계 대유행이 된 코로나19를 막기 힘들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인구 60%가 면역을 갖게되는 시간까지' 보다 치밀하고 장기적인 사회적 준비가 필요하다는 뜻이지, 방역정책 대안으로 '집단감염'을 제시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임상위는 “세계 어느 나라도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인구 60%를 일부러 감염병에 노출시키는 정책을 추진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임상위가 지난 23일 ‘집단감염’에 대해 언급한 내용이 논란이 되자 정부도 국내에서 35만 명이 사망해야 가능한 이론이라며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인구의 60~70%가 면역을 가져야 한다는 개념은 감염자가 면역이 형성돼 나머지 인구 30%에 대해 추가 전파가 없다는 이론적 개념에 근거한다”며 “국내 인구 5000만 명에 대입해 보면, 70% 감염은 3500만 명이 감염돼야 하는 상황이고 치명률 1%라는 점을 고려하면 35만 명이 사망해야 집단면역이 형성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