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6 22:07 (화)
'드라이브 스루' 형태의 검사소 설치도 고려할 때
'드라이브 스루' 형태의 검사소 설치도 고려할 때
  • 권민지 기자
  • 승인 2020.02.24 15: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전문가 간담회서 코로나 새 국면 따른 방역체계 개선책 논의
국민안심병원 활용, 진단시간 단축필요 등 각종 아이디어 개진

코로나19 환자의 급증으로 사태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전문가들이 방역 체계 또한 새로운 상황에 맞도록 개선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더불어민주당은 24일 오전 국회 본청에서 '코로나19 대책 특별위원회'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과 기동민의원, 임영진 대한병원협회 회장, 정영호 대한중소병원협회 회장, 이왕준 대한병원협회 비상대응실무단장(명지병원 이사장), 기모란 국립암센터 예방의학과 교수,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이 내놓은 해법의 핵심은 의료기관을 역할에 따라 분리해 운영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엄중식 교수는 “(지금은) 몇 십명 단위의 1차 유행이 끝나고 몇 백명 단위의 2차 유행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는 있는 시기”라며 “방역 체계가 검역 중심에서 진단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엄 교수는 이를 위해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진료하는 기관과 중증 환자를 진료하는 기관으로 나눠서 진료하는 체계로 서둘러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임영진 병협 회장은 “병원으로의 (감염) 유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대응체계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회장은 “선별진료소가 500여곳 가동 중인데 장비나 인력 부족으로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곳이 많다”며 “선별진료소를 그냥 운영하지 않고 역할 분담을 시켜줘야 한다”고 말했다. 즉, 확진자의 중증도에 따라 구분해 환자를 진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날 참석자들은 방역체계 개선을 위해 '국민안심병원'을 활용하는 데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국민안심병원으로 지정되면 의료진들은 호흡기 질환자와 다른 질환자의 동선을 분리해 진료하게 된다. 국민안심병원은 A타입과 B타입으로 나뉘는데, A타입은 코로나19 유증상자 또는 의심환자가 아닌 일반 호흡기 환자등을 진료하기 위해 분리된 공간과 인력을 갖춘 병원을 말한다. B타입은 A타입에 더해 선별진료소와 호흡기 질환자의 입원 시설까지 갖춘 병원을 말한다. 입원이 필요한 경우 단순 호흡기 질환이라도 다른 질환을 가진 환자들과 섞이지 않도록 호흡기 병동을 통해 분리된 곳에서 입원된다.

임영진 회장은 “병원들은 국민안심병원 프로그램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며 “(이 프로그램으로) 병원 한 쪽에서는 공격적으로 코로나 중증환자를 진료하도록 하고, 호흡기 증상만 가진 환자들은 스크리닝하고 격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영호 중소병협 회장도 “중소병원도 국민안심병원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 중”이라면서 “병원 입구에서 호흡기 증상 환자들이 코로나19 환자가 아니라는 것을 확실하게 증명되지 않으면 병원 내부로 들여보내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속한 진단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진단이 늦어지면 그만큼 확산 예방이 늦어지기 때문이다. 

정영호 중소병협 회장은 “민간에서 하는 코로나 진단 시간이 초창기에는 12시간 이내였는데 검사가 밀려서 차츰 검사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며 “이는 단순히 결과가 늦어진다는 것이 아니라 격리해야 하는 환자도 늘어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진단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는 얘기다. 

엄중식 교수는 “검체 채취 기관도 부족하고 검체를 진단하는 과정도 오래 걸리고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왕준 병협 비상대응실무단장은 진단 시간 단축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단장은 “메르스 트라우마 때문에 초기에는 D레벨의 보호장구를 입고 음압시설 안에서만 검체 채취를 하도록 했다”며 “지금은 (단계를) 보호장구 4종으로 낮췄지만 여전히 (보호장구를 입고 벗느라) 신종플루 때보다 검사 시간이 더 걸린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체 채취를 대량으로 할 수 있는 '스크리닝 센터'를 통해 조기에 환자를 걸러낼 수 있도록 전국적 단위의 센터 설립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기모란 교수는 임시적으로라도 ‘대규모 검체 채취소’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천지 교도 가운데 유증상자가 1000명이 넘는 가운데 이들 인원을 선별진료소에서 모두 수용하기는 것은 역부족이란 것이다.

기 교수는 “운동장처럼 오픈된 공간에 천막을 쳐서 드라이브 스루(Drive thru)처럼 차 안에서 검체 채취를 받고 집에 가서 검사 결과를 기다릴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며 “(이렇게 하면) 병원에서 따로 환자를 격리할 시설도 필요 없고 선별 진료소 앞에서 대기할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이번 확산의 특징 중 하나인 특정 종교집단 단체 감염 예방을 위한 대응책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엄중식 교수는 “특정 종교 집단이 클러스터링(clustering)돼서 나타나는 환자 발생은 상당히 폭발적이면서 다른 집단에서의 유행 가능성도 높이고 있다”며 “교단에 적극적인 협력을 요구해 교인들에게 (종교활동을 잠정 중단하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줘야한다”고 말했다.

임영진 병협 회장 역시 “종교활동 방지를 위한 강한 규제책이 전달돼야 할 것 같다”며 “정부 차원에서 명확하게 입장을 전달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