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9:45 (목)
“바이오헬스산업 ‘국가기간산업’으로 육성해야”
“바이오헬스산업 ‘국가기간산업’으로 육성해야”
  • 김동희 기자
  • 승인 2019.06.11 14: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재천 신약개발조합 전무, 전폭적인 정부 지원 절실
신약개발기술 신규 입법·관련 법안 규제 개정 필요
여재천 한국신약개발조합 전무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바이오헬스산업을 ‘국가 신산업’으로 천명하고, 지원을 약속한 것과 관련, 바이오헬스산업은 부가 가치율과 1인당 부가가치 금액이 타 일반 제조 산업의 2배에 이르고, 경제적인 파급 효과는 발생 매출의 3배에 이르기 때문에 ‘국가기간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여재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전무(사무국장)는 11일 오전 ‘바이오헬스산업-신약산업-민간투자&기간산업’을 주제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바이오헬스산업이 늦게나마 국가 신산업으로 지정된 것을 환영하며, 우리나라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투자 규모는 미국, 일본, EU 뿐 아니라 중국보다도 훨씬 떨어진다고 지적하고 정부의 전폭적인 엑셀레이터 투자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여재천 전무는 먼저 “1997년 G7 프로젝트사업 종료와 함께 부처 간의 신약개발지원 역할 분담론은 관계부처합동(생명공학·제약산업·산업육성) 차원에서 지원육성시스템이 개조되어야 한다. 기초과학과 원천기술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과기부의 역할과 보험정책의 주무부처인 복지부의 역할은 유기체적인 한 몸이 되어야 한다. 특히, 글로벌 시장 진출 신약개발과 관련, 임상·생산지원은 산업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5년 이내에 대표적인 다국적바이오제약기업을 양성해 산업경제적인 시너지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재천 전무는 신약개발과 관련해서는 “국가의 신약개발 ‘프로그램 프레임워크’ 작업이 절실하다.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은 기술·연구 분야의 질환 분류에 따라서 안배 지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업·대학교·연구기관별 보유자원을 분석해 세계시장 경쟁력이 있는 우수한 파이프라인을 선별해 우선적으로 견인해야 한다. 우리나라 산학연의 신약개발자들은 지금 다국적 기업과 대규모 기술이전 등을 협의하고 있는 우수한 밸류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신약개발이 현실산업으로 재인식 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여재천 전무는 또 “신약개발의 고도화를 하루빨리 앞당기기 위한 산업정책과 보건정책의 균형있는 의사결정을 빨리해야 한다.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와해성(destructive) 신약개발기술들을 관련법과 제도 아래에서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는 신규 입법과 관련 법안의 규제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보험재정을 감안할 때 쉽지 않은 문제이나, 약사법을 개정해서라도 보험약가상환제도를 합리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여재천 전무는 결론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가 삼위일체로 협력해 기간산업으로서 바이오헬스산업의 육성과 신약개발 지원에 집중한다면 그룹사, 제약기업, 바이오기업, 벤처기업, 스타트업의 세계적인 신약개발에 대한 소망을 앞당길 수 있고 환자들과 함께 완치의 기쁨도 나눌 수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