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7:59 (금)
“환자혈액관리, 국가 차원에서 도입 추진해야”
“환자혈액관리, 국가 차원에서 도입 추진해야”
  • 하경대 기자
  • 승인 2019.04.30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우 교수, PBM 환자 맞춤 치료 · 적정 수혈 · 혈액수급 안정 위해 꼭 필요
김영우 교수
김영우 교수

국내 한자혈액관리의 단계적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마다 혈액관리 수급비상대책을 각 병원에서 임의로 세우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혈액수급 안정을 위해 해당 제도 도입이 꼭 필요하다는 견해다.

김영우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질병관리정책용역연구 책임자)는 29일 ‘국내 환자혈액관리의 효과적 추진방안’ 국회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은 체네 혈액이 부족한 환자에게 대부분 수혈로 치료를 완료하는 체계다. 이와 달리 환자혈액관리(Patient Blood Management)는 환자 스스로 혈액을 생성하도록 촉진해 수혈을 최소화하고 수술을 할 경우에도 혈액 손실을 최소화해 생리적 보전 능력을 집중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때문에 헌혈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인식한 많은 선진국들에서는 이미 국가적 차원에서 환자혈액관리에 집중하고 있다는 게 김영우 교수의 설명이다.

국내 상황도 다르지 않다. 2018년 국내 헌혈자는 총 268만 명으로 전체 국민 대비 헌혈률은 5% 수준이다. 이는 2015년 308만 명에 비하면 현저한 감소 추세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헌혈감소와 수혈증가로 인해 향후 심각한 혈액 부족도 전망되고 있다. 관련 학회에 따르면 국내 헌혈자의 73%가 10~20대로 헌혈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며 수혈의 73%를 차지하는 50대 이상 및 중증질환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도 환자에게 수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전에 빈혈 등 혈액상태 관리, 수술 시 환자 혈액 손실 최소화, 수술 후 수혈요구 감축 등을 집중관리하면서 혈액사용 평가, 교육 등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김영우 교수도 “환자혈액관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임상 사항을 파악해야 하므로 맞춤 치료가 가능하다”며 “적정 수혈과 혈액수급 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대책”이라고 입을 열었다.

또한 “수혈로 인한 생존율의 저하, 합병증의 증가를 예방할 수 있고 무엇보다 의료수가 절감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며 “각기 다른 의료기관 마다 사정과 국내 정서상 단계적 적용이 바람직하다. 단계적 시행으로 부작용과 저항을 줄이는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고 전했다.

환자혈액관리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의료수가 반영 △지속적 교육 △인센티브 지급 등을 꼽았다.

김 교수는 “단기간 정착을 위해서는 의료수가 반영과 의료인의 질 평가 및 인센티브 지급이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며 “가이드라인적용, 전산시스템구현 등 단계 마다 인센티브를 단계적으로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자혈액관리는 통계와 연관되므로 인력 운영 후 이에 따른 지급이 적당하다”고 판단했다.

덧붙여 “전산시스템 개발에 비용이 들기 때문에 수가 지급이 필요하며 실제 환자의 결과 지표가 향상된 경우 지급하는 것이 좋으나 평가지표가 없으므로 현재는 적절하지 않다”며 “교육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를 학회에서 담당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