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20:31 (목)
국내 치매관련 전문인력 절대 부족
국내 치매관련 전문인력 절대 부족
  • 권미혜 기자
  • 승인 2005.09.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전문의 및 간호사 등 국내 치매관련 전문인력이 절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주도의 신뢰할 만한 유병률·발생률 조사 역시 전무해 치매에 대한 포괄적 국가정책수립이 요구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치매환자 의료서비스에 대한 의료수가가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돼 이에대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는 安明玉의원 주관으로 지난 21일 국회의원회관 회의실에서 열린 `치매환자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제기된 사실이다. 대한신경과학회, 대한치매학회, 한국치매가족협회, 한국치매협회 주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서는 치매에 대한 인터뷰 상영에 이어 2부 정책토론회로 진행됐다.

 박건우 신경과학회 홍보이사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16년째 치매아내를 돌봐온 유석현씨가 첫 연자로 등장, 어려움을 토로한데 이어 이성희 치매가족협회 회장이 치매가족에 대한 지원체계로 지역사회 지지적 자원 연계 강화, 재가복지서비스체계 확대 및 사회적 지원체계 강화방안을 촉구했다.

 김상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국내 치매관련 의료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한 주제발표에서 국내 치매관련 의료서비스의 문제점으로 치매 전문가의 절대 부족을 꼽았다. 그는 국내 의학교육에서 치매관련 부분의 비중이 매우 낮으며, 치매전문의, 치매전문간호사, 치매전문 보건인력을 교육할 시스템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다른 질환군에 비해 현저히 낮은 의료수입으로 인해 치매관련 의료서비스에 대한 의료기관의 관심이 미흡하며, 심평원의 무분별한 심사원칙에 의해 적절한 약제의 사용이 제한적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비전문가에 의해 입증이 안된 치료법과 잘못된 정보들이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사회적 난기류에 깊은 우려감을 전했다.

 김교수는 이어 “최근 치매질환과 환자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며 “의료계와 사회, 국가가 협력하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치매의 조기 진단 및 치료, 관리 및 극복을 위한 시스템을 확립하고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또한 외국에 비해 국내치매환자의 거주 및 생활환경, 식습관등 실태는 크게 달라 우리나라에 맞는 독자적인 검사방법과 관리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나라가 선도하는 바이오테크 및 정보산업 기술들과 연계된 치매연구를 이끌어 부가가치 높은 산업활동으로 유도해야 한다고 치매환자 의료서비스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했다.

 주진형 한국치매협회 사무총장은 치매케어전문인력의 양성 및 제도화 방안을 제안한 뒤 노인요양보험법의 조속한 제정과 전문교수요원의 확보와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은하 서울시립서북병원 신경과장은 “우리나라의 노인병원 및 시설은 양적인 면에서는 수요를 충족하게 될 것”이라며 “이제는 전문 의료인 뿐 아니라 정부관리, 사회복지를 담당하는 전문인들은 노인병원 및 시설의 질적인 향상과 관리를 고려하여 협력해야 할 때”라고 노인을 위한 노인병원 및 시설 확충의 시급성을 환기시켰다. 장병원 보건복지부 노인요양보장제도 설계팀 과장은 노인요양보장제도 도입을 앞두고 중산·서민층 노인요양시설 확충과 요양보호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재가복지서비스의 대폭 확충등 향후 정책추진방향을 제시했다.

권미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