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9:45 (목)
소득 낮을수록 ‘만성질환’ 관리 소홀
소득 낮을수록 ‘만성질환’ 관리 소홀
  • 하경대 기자
  • 승인 2018.09.06 16: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호석 교수팀, 6년간 만성질환 환자 분석…‘저소득층’ 만성질환 관리 재정 지원 필요
<표=인제대학교 백병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6년간 ‘만성질환을 잘 관리하는 환자 비율’을 조사한 결과 소득이 낮을수록 만성질환 관리가 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호석·황수빈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신장내과 교수팀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2만8759명을 소득수준에 따라 4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다.

전체적으로 ‘만성질환을 적절히 잘 관리하는 비율’은 2010년 40.4%에서 2015년 56.7%로 16.3% 포인트 높아져 환자들이 만성질환 관리방법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좋아졌다.

그러나 소득에 따라 양상은 달랐다.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하위 25%)에선 ‘만성질환을 잘 관리하는 비율’이 2010년 41.2%에서 2015년 54.1%로 조사됐다. 소득이 가장 높은 그룹(상위 25%)은 2010년 42.4%에서 2015년 59.7%로 모든 그룹에서 높아졌지만, 소득이 낮을수록 만성질환 관리 비율은 저조했다.

즉, 하위그룹과 상위그룹 격차가 1.2% 포인트에서 5.6% 포인트로 더 벌어진 셈이다.

질환별로 살펴보면 당뇨병과 신장질환은 모두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이 관리를 더 잘하지 못해 6년간 추이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2010년 33.1%에서 2015년 65.2%로 32.1% 포인트로 크게 높아졌다. 2010년 고혈압을 잘 관리하는 비율이 소득이 가장 높은 집단에서 35.1%로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32.9%)보다 2.2% 높았지만 2015년에는 오히려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이 64.4%로 소득이 가장 높은 그룹(62.3%)보다 높았다.

모든 그룹에서 만성질환자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경제적인 요인을 꼽았다. 최저 소득층 그룹이 2010년 31.1%로 2015년 38.2%보다 7.1% 포인트 증가했다. 가장 높은 소득 그룹도 2010년 8.7%에서 2015년 12.6% 포인트 증가했다.

소득이 낮을수록 만성질환에 걸릴 위험도는 1.17배 높았다. 체질량지수, 고혈압, 교육수준, 직업 종류, 나이보다 소득이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로 분석됐다.

구호석 교수는 “하위 25% 그룹의 소득이 월 평균 150만 원 미만으로, 전체 인구 1인당 월 평균 진료비가 10만 원을 넘어섰고, 65세 이상 인구에서는 월 30만 원 이상 넘어 필수의료 이용의 부담이 소득 대비해서 더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며 “만성질환의 관리는 초기에 잘 하지 않으면 합병증으로 인한 전체 의료비의 상승이 더 증가해 문제 되는 만큼 국가적인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2015년 65세 이상 하위 25% 소득이 77만 원 미만으로 의료비로 약 30만 원을 사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6년간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도 분석했다. 당뇨병 유병률은 2010년 10.1%에서 2015년 11.6%로 1.5% 포인트 증가세를 보인 반면, 고혈압 유병률은 2010년 34.4%에서 2015년 32.6%로 1.8% 포인트 낮아졌다. 만성 신장질환 유병률은 큰 변화가 없었다.

황수빈 교수는 “빈곤할수록 건강이 나빠지고 결국 소득이 낮은 노동으로 인해 다시 빈곤하게 되는 건강 불평등의 악순환이 반복된다”며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에게 적극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