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9:45 (목)
전공의들, ‘계약직·고용불안’에 입원전담전문의 진로 망설여
전공의들, ‘계약직·고용불안’에 입원전담전문의 진로 망설여
  • 하경대 기자
  • 승인 2018.08.28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협, 입원전담전문의 설문조사 결과 공개…“정부,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어야”

보건당국이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활성화에 나선 가운데, 전공의들은 '불안정한 고용' 등의 이유로 입원전담전문의로서의 진로 결정을 고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안치현, 이하 대전협)는 입원전담전문의 인터뷰 질문 모집을 위해 지난 6월부터 전공의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설문에는 전공의 90명이 참여했으며, 전공과로는 내과(36.67%)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연차별로는 3년차(27.78%), 4년차(27.78%) 등 고년차 레지던트가 주로 설문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입원전담전문의 진로의 가장 큰 단점으로 '불안정한 고용(83.33%)'을 꼽았다. 실제 대부분의 입원전담전문의가 계약직으로 채용되고 있어 고용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불확실한 진로(58.89%) △기존 과 의료진과 의견 충돌(58.89%) △잦은 야간 당직(57.78%) △사회적 지위 및 인식(33.33%)이 단점으로 꼽혔다.

반면 입원전담전문의가 가지는 장점으로는 △근무 시간 조정의 자율성(57.78%) △대학병원 근무의 이점(57.78%) △연구 등 진료 외 업무 부담 최소(52.22%) △높은 연봉(4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높은 관심과 장래성’을 장점이라고 꼽은 응답자는 6.67%에 그쳤다.

응답 결과를 반영하듯 전공의들은 입원전담전문의의 △업무 독립성 △정년 보장, 정규직, 연금 등 고용 안정성 △환자 수나 전담의 수, 외래, 당직 등 업무강도 및 근로환경 등에 대한 궁금증을 가장 많이 피력했다.

한편 실제 현장에서 일하는 입원전담전문의가 생각하는 애로사항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한입원전담전문의협의회가 지난 7월 내과계 입원전담전문의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55명 대상 24명 응답) 결과에 따르면 입원전담전문의를 지원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직업 안정성(50.0%) △레지던트 업무에 대한 심적 부담(41.7%) △급여(33.3%) △새로운 역할에 대한 부담(29.32%) △근무여건(29.2%) 등이 순서대로 꼽혔다.

입원전담전문의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병원은 △입원전담전문의의 병원 내 역할 정립(87.5%) △점진적 급여 인상(45.8%) △고용의 안정성(41.7%)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정부는 △제도적 뒷받침(75%) 및 수가인상(70.8%) 등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이들은 주위의 권유(29.2%), 워라벨(29.2%), 언론 자료(20.8%) 등을 통해 입원전담전문의에 지원했다고 답했다.

응답자 중 41.7%가 현재 근무여건에 만족했으며, 내년에도 근무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62.5%에 그쳤다. 계속 근무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는 과도한 업무 로딩(58.3%), 인력부족(33.3%), 급여(33.3%) 등이 언급됐다.

김준환 대한입원전담전문의협의회 홍보이사(서울아산병원 내과 진료전담교수)는 “만족도 및 지속적 근무의향이 지난해 설문 결과보다 낮게 나타났다”면서 “입원전담전문의가 과도한 업무 로딩으로 번-아웃 되지 않도록 제도적 정비 및 병원, 정, 학회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입원전담전문의 제도의 주요 목적인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에 따른 의료인력 공백 해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입원전담전문의 과반수가 병원 내에서 전공의법이 잘 지켜지고 있다고 응답했다. ‘매우 그렇다(20.8%)’와 ‘그렇다(54.2%)’라고 답한 비율이 75%를 차지했다.

각 병원의 입원진료를 담당할 인력부족에 대한 대한 대책으로 ‘입원전담전문의’가 79.2%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PA(41.7%), 전공의 추가 업무 및 시간 조정(37.5%), 교수 당직(12.5%) 순이었다.

서연주 대전협 홍보이사는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 안전한 의료 환경을 위해 반드시 정착돼야 할 제도”라며 “시범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국의 사례처럼 신속한 활성화 및 보편화를 위해서,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대전협 차원에서는 전공의 대상으로 입원전담전문의 제도에 대한 궁금증 해소 및 홍보를 위해, 지난 12일 현장에서 근무하는 입원전담전문의 6인을 섭외하여 인터뷰 영상을 제작한 바 있다.

해당 영상은 대한전공의협의회 유튜브 채널 및 페이스북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업로드될 예정이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