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7:56 (금)
치매국가책임제 ‘아이러니’…신경과 전공의 줄이는 현실
치매국가책임제 ‘아이러니’…신경과 전공의 줄이는 현실
  • 송정훈 기자
  • 승인 2018.04.06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진상 이사장 “정부의 전공의 정책, 퇴직자만큼 보충하는 방식”
대한신경과학회 임원진

“울산시는 배정할 신경과 전공의가 없어 뇌졸중 사망률이 지역 중 가장 높았다. 정부는 전문의 퇴직자 수만큼 전공의를 배정하는데 신경과의 역사가 짧아 배출되는 인원은 거의 없다”

정진상 이사장

대한신경과학회(이사장·정진상)는 복지부의 전공의 정책에 대한 불합리성을 역설하며 지난 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착잡한 심정을 드러냈다.

정진상 이사장은 올해 학회 중점 목표로 ‘신경과 전공의 확대’를 내걸었다. 그 이유는 복지부가 88명이었던 신경과 정원을 82명으로 줄였기 때문.

정 이사장은 “본인이 신경과 전문의 1기임에도 정년이 4년이나 남았다. 아웃풋을 따져 인풋을 결정하는 현실은 신경과 전공의 정원이 계속 줄어들 수밖에 없게 만들고 전공의가 줄어든다면 당연히 전문의도 줄어드는 악순환이 이어질 것”이라며, “이대로라면 100세 시대에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치매, 파킨슨병은 물론 뇌졸중 골든타임까지 놓칠 위기”라고 덧붙였다.

그는 수요를 중심으로 공급을 생각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역사가 짧은 신경과의 특성을 정부가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내과, 외과 등 역사가 긴 전문 과목들은 은퇴의사가 지속적으로 생기지만 신경과는 그렇지 못해 전공의 책정에 불이익을 받는 현실을 꼬집은 것.

정진상 이사장은 “복지부에 신경과 정원을 110명으로 늘려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겠다. 신경과 전공의 확대는 현재 우리에게 최대 화두다”라며 전공의들을 위한 학회차원의 교육정책도 계획 중이라고 전했다.

정 이사장은 전공의 수련 기획, 세부전문가 과정 평가, 개원의경영아카데미 지원 등을 위한 교육학술총괄위원회의 역할을 강조하며 △신경과 전공의 정원 확대 △의과대학 학생교육에 새로운 비전 제시 및 전략 실천 △개원의 경영아카데미 신설 및 실시 △AOCN 성공적 개최를 올해 위원회 목표로 삼았다.

정진상 이사장은 “학생들이 신경과를 막연하게 어렵다고만 생각한다. 이에 학회는 신경과에 대한 혁신적 비전을 수립해 우수한 인재들이 신경과를 지원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한편, 대한신경과학회는 학회를 △교육학술총괄위원회 △보험총괄위원회 △정책기획총괄위원회 △회원권익증진위원회(신설) △진료질증진위원회 △출판정보위원회 △JCN간행위원회 △연구진흥위원회(신설) △특별위원회(신설)로 구성했음을 밝히고 이와 함께 총괄운영위원회의 구성원과 올해 목표를 공개했다.

보험총괄위원회는 구자성 위원장(서울성모병원)을 필두로 올해 정책 목표를 △신경계 질환 중증도 제고 △문재인케어 대책 수립을 내걸었고 정책기획총괄위원회는 배희준 교수(분당서울대병원)가 위원장을 맡아 △치매국가책임제 특별위원회 운영 등을 진행한다.

신설된 회원권익증진위원회는 이은아 위원장(헤븐리병원)이 맡아 △VOM 및 뉴스레터 제작 △회원친선 및 관계증진 △청년위원회(전공의, 군의관, 공보의 등) 운영 등을 계획 중이고 진료질증진위원회는 박건우 위원장(고대안암병원)이 맡아 신경과 진료역량 정도관리에 관한 업무를 본다, 

출판정보위원회는 송흥기 위원장(성심병원)을 필두로 △의대생 교과서 출판 △회원 소통 △학회지 제작 등을 전담하고 JCN간행위원회는 이경민 위원장(서울대 교수), 신설한 연구진흥위원회는 조수진 위원장(한림대동탄성심병원)이 맡았다. 

신설한 특별위원회에서는 이병철 인재양성특별위원장(한림대 교수), 나덕렬 치매국가책임제 대책특별위원장(삼성서울병원 교수), 허지회 급성기뇌졸중 치료특별위원장(세브란스병원)이 맡았다.

송정훈 기자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