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2:01 (금)
“치매국가책임제 신경과 의사들이 나서야 한다”
“치매국가책임제 신경과 의사들이 나서야 한다”
  • 김동희 기자
  • 승인 2018.03.26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경과의사회 춘계학회 성료, 적정 진료수가 보장이 국민을 위한 길이다

“문재인 정부의 중점 정책인 치매국가책임제에 ‘뇌를 지키는 의사’인 신경과 의사들의 의견이 배제되어 있다. 정부는 이 중요한 정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경과의사회와 정책 결정 및 진행과정을 논의해야 한다”

지난 3월1일부터 임기 2년의 대한신경과의사회의 수장이 된 이은아 신임회장(헤븐리병원장)은 지난 25일 서울밀레니엄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회원 4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린 ‘제28회 춘계학술대회’ 기간 중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 회장은 “100세 고령화 시대에 누구도 치매에 자유로울 수 없다. 치매는 관리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치료가 함께 병행되어야 하는 점을 고려해보면 치매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신경과 의사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6월2일 △전국에 252개의 치매지원센터 확대 △치매안심병원 설립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 상한제 도입 △치매 의료비 90% 건강보험 적용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 △치매 환자에게 전문 요양사를 파견하는 제도 도입 등이 주요 골자로 한 치매국가책임제를 발표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정부는 의료계와 함께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를 조직했으며, 여기에는 대한치매학회와 대한노인정신건강의학회 등이 참여했지만, 신경과의사들의 참여는 사실상 배제된 상황.

이은아 대한신경과의사회장

이은아 회장은 “국가의 엄청난 예산이 들어가는 중요한 사업인 만큼 일부 세부학회가 아닌 신경과의사회나 학회 등 모 학회가 포함돼 포괄적인 논의를 같이 해야 한다”며 “치매국가책임제의 핵심인 치매안심센터 확대가 과연 효율적으로 잘되고 있는지, 일회성이 아닌지에 전문가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치매안심센터의 모태는 지난 2006년 서울시에서 시작한 ‘치매안심지원센터’로 초기 이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논의과정이 오픈된 상태에서 전문가인 신경과, 정신건강과 의사들 간의 치열한 논의가 있었다.

이은아 회장은 “현재 신경과 의사 모두가 치매안심센터에 관여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센터에 참여하는 의사들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없기에 봉사활동 수준으로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언급했다. 

나아가 이은아 회장은 비단 국가치매책임제에서 뿐만이 아니라 고령화 사회로 노인성 질환이 늘어나는 지금, 신경과의사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진료에 임할 수 있도록 각종 정책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은아 회장은 “파킨슨이나 치매 환자의 경우, 정상인보다 인지가 떨어지기 때문에 신경과 의사는 환자의 특성상 진료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가족과도 오래 상담해야 한다. 상담 수가가 있어야 한다”며 “향후 뇌질환 환자가 늘어날 것인데, 미리 대비하는 것이 국가적 차원에서 의료비가 절감된다. 더해 환자나 가족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신경과 의사가 적정한 수준의 진료수가를 받아야 곧 국민이 행복해진다”고 말했다.

더해 5천억 예산이 투입되는 치매 치료약 개발에도 치매 전문가인 신경과 의사들의 의견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진상 대한신경과학회 이사장

한편 이 자리에 함께한 대한신경과학회 정진상 이사장(삼성서울병원 신경과)은 대학교수가 주축이 된 신경과학회와 의사회가 긴밀한 공조를 이어가겠다고 언급했다.

정진상 이사장은 “개원이 잘 되어야 봉직의도 대우를 잘 받는다. 그러면 대학에서도 대우가 달라진다. 서로 윈윈이다. 학회와 의사회는 공동 운명이다”며 “의사회와 공조를 통해 신경과가 안정적으로 꾸준히 발전하는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드리겠다”고 다짐했다. 

김동희 기자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