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9:45 (목)
필수의약품 국산화 기틀 마련한 녹십자, 창립 50주년
필수의약품 국산화 기틀 마련한 녹십자, 창립 50주년
  • 김동희 기자
  • 승인 2017.09.29 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혈액제제·백신’ 한 우물…’최초·최다·최대’ 제품 줄이어

필수의약품 국산화에 앞장서온 녹십자가 내달 5일 창립 50주년을 맞아 도전과 열정의 반세기 역사를 회고하고 더 큰 미래를 향한 도약을 다짐했다.

녹십자는 허일섭 회장을 비롯해 본사와 녹십자엠에스, 녹십자랩셀 등 가족사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본사 목암빌딩 강당에서 창립기념식을 가졌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창립기념식은 충북 오창공장과 전남 화순공장 등 전국의 공장과 사업장, 중국과 캐나다 현지 법인인 GC China, GCBT 등 해외 법인을 화상 회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진행됐다.

창립기념식에서는 녹십자의 지난 반세기 동안의 성공은 물론 고난과 역경의 역사를 담은 ‘사사’를 신입사원들에게 전달하는 봉정식도 진행됐다.

허일섭 녹십자 회장은 “지난 50년은 아무도 가지 않을 길을 개척하며 시련과 시행착오도 겪었지만 글로벌 공략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며 “앞으로 정도 경영과 더불어 연구개발에 매진해 거대 신약을 개발해 글로벌 건강산업의 리더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녹십자의 지난 반세기 발자취는 ‘최초·최다·최대’로 압축된다.

녹십자는 1967년 수도미생물약품판매주식회사로 시작해 지난 50년간 혈액제제와 백신 등 필수의약품 분야에 역량을 집중해왔다.

사실 녹십자가 혈액제제와 백신 사업에 뛰어들었던 1960년대에는 의료계에서 조차 혈액제제에 대한 개념이 생소했고 백신은 수익성이 떨어져 국가주도 사업이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하지만 녹십자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 이미 자급자족하고 있던 필수의약품을 우리 손으로 만들겠다는 고집으로 국산화라는 꿈을 포기하지 않았고 현재 녹십자 백신과 혈액제제는 세계 50여개국에 공급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의약품이 됐다.

녹십자는 1971년, 국내 최초이자 세계 6번째 혈액제제 공장을 완공한 뒤 알부민 등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필수의약품을 생산하며 이 분야의 새로운 역사를 쓰기 시작했다.

또한, 소변이 원료인 혈전용해제 ‘유로키나제’를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해 수출 품목이 변변치 않았던 1979년 제약사 최초로 수출 1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의약품 수출길에도 앞장섰다.

이어 녹십자는 B형간염백신과 계절독감백신, 신종플루백신 개발에 성공하며 성장을 거듭했다. 12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세계 3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B형간염백신 ‘헤파박스-B’는 13%에 달하던 B형간염 보균율을 선진국 수준인 2~3% 수준으로 크게 낮췄다.

또한, 지난 2009년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신종플루 팬데믹(대륙간 대유행) 사태 당시 세계에서 8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신종플루백신은 전량 국내 공급을 통해 국가 보건안보에 기여했다. 당시 전세계적으로 절대적인 백신 공급부족으로 인해 수출로 막대한 이익을 거둘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우선 공급 원칙을 고수했다. 당시 세계보건기구 WHO는 대한민국과 녹십자를 신종플루 팬데믹에 가장 모범적으로 방어한 사례로 선정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계절독감백신을 국내 최초로 원액부터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자체 기술력으로 생산, 공급하며 독감백신의 자급자족 시대를 열며 백신주권을 확립했다. 또한 우리나라와 독감 유행시기가 정반대인 남반구 지역을 공략하면서 해외 누적 매출은 2억 달러를 넘어섰다. 여기에 유엔 조달시장에도 전세계 독감백신 가운데 가장 많이 공급되고 있다.

녹십자는 환자 수가 적더라도 꼭 필요한 의약품 개발에 적극 나서며 희귀질환에 대해 선진국 수준의 치료 환경을 조성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녹십자는 국내 환자 수가 70여 명에 불과한 헌터증후군 치료제와 혈우병 환우들을 위한 혈우병치료제 등 만들기 어렵지만 반드시 있어야 할 의약품 개발에 적극 나서며 수입에 의존하던 치료제를 대체하며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필수의약품에 대한 국산화 노력은 사회 기여는 물론 상업적 성공으로 이어져 1967년 창립 첫 해 1276만원에 불과했던 매출은 지난해 1조 1979억원까지 늘어났고, 1972년부터 지난해 2016년 까지 45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녹십자는 앞으로 100년, 200년을 위해 세포치료제 개발과 북미 사업에 미래를 걸었다. 실제로 미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최근 5년새 연구개발 비용을 약 2배 가량 늘렸고, 아시아 최대 세포치료 연구시설을 갖춘 ‘셀센터’를 건설하고 있다. 여기에 캐나다 혈액제제 공장이 완공되면 녹십자는 이미 혈장처리가 이뤄지고 있는 중국과 국내 공장까지 합쳐 총 270만 리터 규모의 세계 5위권 혈장처리 능력을 갖추게 된다.

김동희 기자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