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17:41 (토)
"국가방역 패러다임, 행정 중심서 의료현장 중심으로 바꿔야"
"국가방역 패러다임, 행정 중심서 의료현장 중심으로 바꿔야"
  • 김기원 기자
  • 승인 2017.07.25 0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명돈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한국 메르스환자 리포트 중국서 먼저 출판 창피함느껴"
오명돈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지난 24일 의학연구혁신센터 서성환 연구홀에서 열린 제2차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가과제 심포지엄에서 “국가 방역 패러다임을 ‘행정-관리 중심’에서 ‘의료현장-임상 중심’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015년 우리나라를 일대 혼란에 빠트린 '메르스 유행 사태'의 교훈이라면 우리나라 방역시스템으로는 신종 전염병 유입을 막을 수 없다는 사실”이라는 뼈아픈 지적이 나왔다.

또 “이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가 방역 패러다임을 ‘행정-관리 중심’에서 ‘의료현장-임상 중심’으로 바꿔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모았다.

이는 오명돈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지난 24일 오후2시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서성환연구홀에서 개최된 ‘제2차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가과제 심포지엄’에서 ‘국가 감염병 관리체계와 서울대병원의 역할’을 통해 주장한 내용이다.

오 교수는 서울대병원과 정부의 역할에 대해 “서울대병원은 방역의 최전선인 지역사회와 시민-의료기관, 의료인들이 각자 자신의 역할을 정확히 알고 대응능력을 높이는데 적극 기여해야 한다. 또 정부는 방역 현장인 의료기관-의료인, 지역사회-시민의 대응능력을 키우기 위한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고 예산 편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투자에도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 교수는 “지난 2015년 메르스가 우리나라를 초토화시켜 모두 우왕좌왕하고 있을 때 오히려 중국 광둥성 CDC는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여행갔던 메르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 메르스 환자 관련 최초의 리포트를 유럽 CDC 잡지에 발표했다. 또 우리는 이를 보고 메르스의 실체를 파악, 창피함과 함께 처절히 반성하는 계기가 됐었다”고 고백했다.<참고_➊첫환자 입국 2015.5.4.  ➋첫 환자 발생 2015.5.11.  ➌첫 환자 의심(삼성서울병원 감염전문의) 2015.5.19.  ➍첫 환자 진단(정부 확인 발표) 2015. 5.20>  

오 교수에 따르면 지난 2015년 5월11일, 우리나라에서 메르스 첫 환자 발생 이후 중국으로 여행갔던 환자는 5월26일 홍콩, 28일 중국 광둥성 방역당국에 의해 발견됐다. 중국 광중성 CDC는 이 환자에 대한 논문을 신속히 작성하고 6월11일 유럽CDC에 접수, 일주일 뒤인 6월18일 '대한민국 메르스 환자 관련 논문'이 최초로 출판됐다는 것이다.<하단 사진>

오 교수는 ‘국가방역 시스템 :어디서 실패했나?’ 반문하고 “검역소와 인천공항 열감지 카메라로는 메르스 국내 상륙을 찾아내지 못했다. 또 보건소는 관할지역 의원과 병원으로 부터 제대로 보고받지 못해 관내에 메르스 환자가 있는지 조차 알지 못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질병관리본부 역시 메르스가 국내에 들어온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인지하는데 무려 15일이나 걸릴 수 밖에 없었다.”고 잘못된 국가방역 시스템을 꼬집었다.

오 교수는 ‘방역의 역사’와 관련, “14세기는 이탈리아 베니스에 흑사병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선박 상륙을 40일(quaranta) 금지시켰고 19세기는 콜레라 유입을 막기 위한 국제적 논의가 시작됐었다”며 “이제 선박에서 제트기로 여행하는 시대에 맞춰 방역시스템도 바꿔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즉, 전세계가 하나인 글로벌 시대인 만큼 '자기 국가의 울타리만 튼튼히 하면 된다'는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낡은 개념 아래 구 시대의 시스템이 현재도 작동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제1호 메르스 환자는 외국에서 감염됐으나 무증상으로 입국한 후 동네 병원과 큰병원 응급실을 방문하는 등 국내 유입 전염병의 ‘제1초소’는 검역소가 아니라 의료기관 외래-응급실이라는 사실을 입증시켰다.

오 교수는 “전염병의 피해=환자수×중증도=중증도(임팩트)와 전파력(사람→사람)이다. 이 두 부분 모두 '스페인 독감'이 가장 강력했었다. 그러나 중간치에 위치한 메르스와 에볼라는 공포감을 주는 중증도 비해 전파력은 약했다”고 말했다.

특히 오 교수는 '피해 최소화 전략'과 관련, “신종 전염별 발생시 백신과 항바이러스 약이 없는 현실을 감안하고 또 만들더라도 최소 6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지역사회 확산 늦추기'에 시민과 일반인 등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오 교수는 ‘국가 방역 역량 강화(과제1)’과 관련, “의료기관/의료인[1차(동네) 의원, 2차 병원 응급실, 3차 (대학)병원]의 관계에서 역할 분담은 누가 조정할 것이며 갑자기 대량 환자 발행시 초과수요 대응 능력을 그리고 지역사회/시민의 경우, 약과 백신이 없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이며 의료기관 능력 포화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가 현실적 과제임”을 지적했다.

그리고 ‘국가 방역 역량 강화(과제2)’와 관련, “세계화와 함께 우리의 전염병은 전세계의 전염병인 만큼 전세계와 데이터를 공유할 의무가 있고 우리나라 발생 상황을 전세계와 공유하는 방법으로는 논문 발표인 만큼 과학적이고 신속한 논문 발표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대병원의 역할‘의 역할 특히 '교육'과 관련, 오 교수는 “프로토콜, 가이드 라인으로 신종 전염병에 대처 못한다. '아는 사람' 보다 '할 줄 아는 사람' 특히 '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임상 전문가 교육과 훈련→신종 전염병 현장에 파견 훈련<예:미국_2014년 에볼라 현장에 EIS officer 158명 파견. GOARN(Global outbreak alert and response network)에 다녀온 의료인들→지속 발전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세션1에서 '감염관리체계와 헬스 시큐리티'와 '국가 감염병 관리체계와 서울대병원의 역할' 발표가 끝난 직후 열린 패널토의에서 이희영 분당서울대병원 공공의료사업단 교수<사진 우측>와 조동찬 SBS 의학전문기자<사진 좌측>가 앞선 두편의 발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히고 있다.

한편, 오명돈 교수에 앞서 ‘감염관리체계와 헬스 시큐리티’를 발표한 최평균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➊신종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핵심 역량<신종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신종감염병 조기 인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유행발생 대응(역학조사, 감시, 격리, 접촉자 관리 등). 위기 소통>과 ➋신종감염병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 제공<환자 발생 규모, 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대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이에 대한 제언으로 “감염병 관리체계의 security를 위해 고도격리병상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고도격리병상(High-level isolation Unit)은 격리시설이 다가 아니며 최선의 진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감염내과 전문의와 중환자 전문의를 포함한 다학제팀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양한 중증 기저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전문의료진의 진료 참여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최 교수는 “격리병상 의료진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며 “격리병상에 환자배정이 행정 결정이 아니고 환자의 임상적 특성 및 최선의 치료 제공 가능성 등의 기준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