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8 15:50 (목)
모차르트 '선제후 부인 소나타' K. 301-306
모차르트 '선제후 부인 소나타' K. 301-306
  • 의사신문
  • 승인 2009.06.17 13: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아름다운 대화


베토벤이 피아노 소나타에 깊은 애정과 관심을 보였다면, 모차르트는 자신의 창조적인 삶의 모든 시기에 걸쳐 바이올린 소나타라는 장르에 많은 애착을 가지고 있었다. 바이올린은 피아노 다음으로 그가 좋아했던 악기였으며, 두 악기 모두 능숙하게 다루었다. 그는 자신의 짧은 인생 중 26년에 걸쳐 총 36개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했다.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조합이 자신의 개인적이고 심오한 느낌들을 표현하는 매개체로서 매우 적합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그가 바이올린과 건반악기를 동등한 파트너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1778년이 되어서였다. 만하임과 파리에서 쓴 이들 여섯 개의 작품은 `바이올린 반주가 딸린 클라브생 포르테피아노를 위한 여섯 개의 소나타'라는 제목이 붙은 op.1으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집이 그의 주요 작품으로 출판된 첫 사례였으며, 선제후 부인인 마리아 엘리자베트에게 헌정되었기 때문에 이들 작품을 `선제후 부인 소나타'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당시로는 상상하기 힘든 두 악기를 대등하게 다룬다는 착상을 제공한 것은 독일의 요제프 슈스터라는 작곡가였는데 모차르트는 1777년 뮌헨에서 가족에게 보낸 편지에 “누이동생을 위해 슈스터가 쓴 6곡의 악보를 동봉합니다. 여기서 종종 연주하는데 나쁘지 않아요. 저도 같은 스타일로 여섯 곡을 쓸 생각입니다.”라고 썼다. 이 곡이 `선제후 부인 소나타' K. 301-306으로 6개의 곡으로 구성된 바이올린 소나타집이다.

소나타 G장조 K. 301_ 시작에서부터 두 악기를 균형 있게 다루고 있으며 칸타빌레 주제를 노래하는 바이올린을 뒷받침하는 피아노는 처음에는 눈에 띄지 않게 묻혀 있다가 곧 두 악기의 위치가 바뀐다. 2악장은 삼부 형식의 알레그로 단조로서 중간부에서는 바이올린이 악상의 흐름을 주도하면서 인상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소나타 Eb장조 K. 302_ 활기찬 변칙 화성으로 시작했다가 더 섬세하고 우아한 선율이 나타난다. 론도 알레그로 2악장에서는 두 악기가 저음에서 들려주는 진심어리고 경건하기까지 한 주제로 인해 듣는 이를 매혹시킨다.

소나타 C장조 K. 303_ 1악장은 아다지오 악구가 두 번에 걸쳐 알레그로에 자리를 내준다는 놀라운 독창적인 짜임새를 보여준다. 2악장은 요제프 슈스터의 이중주곡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확실한 증거가 될 정도로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대등한 지위로 연주하게 된다.

소나타 C단조 K. 304_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중에서 유일한 단조형식이다. 이 곡은 이 바이올린 소나타집 중에서 단연 빼어난 작품으로 표현력과 감성이 극적인 면을 보여준다. 이 곡의 영감의 주제는 `슬픔'이다. 아마 당시 스물두 살이었던 작곡가는 어머니의 죽음에서 받은 슬픔을 이 곡에 담고 있는 것 같다. 이 곡에 담긴 다양성과 깊이는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다. 음악학자인 알프레드 아인슈타인은 이 곡을 “모차르트의 작품 중에 손꼽히는 기적적인 작품이다. 지적인 깊이로 충만한 감정으로부터 시작된 이 곡은 모차르트가 펼쳐놓은 웅장한 드라마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두드리는 듯 대화를 펼쳐내기 시작한다.”라고 평가하였다.

소나타 A장조 K. 305_ 알레그로 디 몰토로 휘몰아치면서 두 주제는 활기차고 느긋한 분위기를 번갈아가며 보여주고 있다. 안단테 그라치오소인 2악장은 주제와 그에 딸린 여섯 개의 변주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변주마다 활기찬 기백과 생기를 보여주고 있다.

소나타 D장조 K. 306_ 여섯 개의 소나타 가운데 유일하게 3악장으로 구성된 곡으로, 안단티노 칸타빌레 악장이 두 개의 빠른 악장사이에 끼어있는 형태의 구성이다. 피아노의 기교적인 서법과 바이올린의 화려함은 협주곡을 방불케 한다.

■들어볼 만한 음반 ; 아루트르 그뤼미오(바이올린), 클라라 하스킬(피아노), 필립스(1958); 빌리 보스코프스키(바이올린), 릴리 크라우스(피아노), EMI(1954); 시몬 골드베르그(바이올린), 라두 루푸(피아노), 데카(1975); 헨릭 쉐링(바이올린), 잉그리드 헤블러(피아노), 필립스(1974) 
  

오재원〈한양대 구리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