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9:45 (목)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7번 작품번호 60,〈레닌그라드〉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7번 작품번호 60,〈레닌그라드〉
  • 의사신문
  • 승인 2012.02.29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치에 저항하는 시민들의 투쟁·승리의 함성

교향곡 제7번은 제2차 세계대전인 1941년 레닌그라드전투 당시 작곡되었다. 레닌그라드(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나치독일군에게 포위되어 위기에 빠져있었다. 결국 레닌그라드는 이 위기를 극복하고 포위에서 풀려나는데 쇼스타코비치는 이곳에서 교향곡 제7번을 완성한다.

그해 12월 완성된 이 곡은 레닌그라드 시에 헌정되었고 발표되자마자 미국을 포함한 여러 서방국가에서 연주되었다. 전쟁 중 쓰여진 교향곡 제7번, 8번, 9번을 일명 `전쟁 교향곡'이라 부른다. 그중 교향곡 제7번은 표제음악으로 독일의 공격과 이에 저항하는 레닌그라드 시민들의 투쟁과 고통, 그리고 최후 승리의 함성을 파노라마처럼 표현하고 있다.

자신의 고향인 레닌그라드에 살고 있던 쇼스타코비치는 전쟁이 발발하자 자원입대를 하려고 했지만, 심한 근시와 쇠약한 체력으로 군복무를 거부당했다. 그는 다른 방법으로 국가에 헌신할 것을 다짐하며 서둘러 이 곡을 쓰기 시작했다. 당국은 그해 10월 쇼스타코비치 일가를 레닌그라드에서 쿠이비셰프로 피난시켰고, 그곳에서 이 곡은 1941년 12월 완성되어 이듬해 3월 초연되었다. 한편 마이크로필름으로 제작된 이 곡의 악보는 미국으로 보내져 토스카니니의 지휘로 1942년 7월 초연되어 큰 인기를 끌면서 연합군의 사기를 높이는데 일조하게 된다.

쇼스타코비치는 교향곡 제7번을 통해 나치에 대항해 온 인민이 떨쳐 일어설 것을 촉구했고, 전쟁의 포연 속에서 절반 밖에 남지 않은 볼쇼이관현악단원들을 불러 모아 이 곡을 연주했다.

솔로몬 볼코프가 쓴 쇼스타코비치의 회상록 `증언'에서 그는 이렇게 토로하고 있다. “나는 교향곡 제7번 `레닌그라드 교향곡'을 빠른 속도로 써내려갔다. 그 곡은 쓰지 않을 수가 없었다. 온 세상이 전쟁판이었다. 나는 인민들과 함께 있어야 했고 전쟁을 겪는 조국의 이미지를 그려내고 싶었으며 그걸 음악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전쟁이 터진 첫날부터 나는 피아노 앞에 앉아 작업을 시작했다.

아주 집중해서 작업했다. 나는 우리 시대에 대해, 그리고 적에게 승리했음에도 힘도 생명도 함께 나누지 못하는 우리 동시대인들에 대해 쓰고 싶었다. 이 곡을 `레닌그라드'라고 부르는 데에는 이의가 없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히 `점령된 레닌그라드'가 아니라 `스탈린이 이미 철저히 파괴했고 히틀러가 마지막 타격을 가한 레닌그라드'를 애도한 곡이다” 이 곡은 그의 교향곡들 중 가장 긴 곡으로 악기편성도 방대하다. 이 곡에는 악장마다 제목이 붙어 있었는데 쇼스타코비치는 후에 이 제목들을 떼어 버렸다.

△제1악장 Allegretto `War' 당당하고 멋진 행진곡풍으로 시작하며 그 후 서정적인 주제가 따라온다. 서정적인 주제가 끝나면 라벨의 `볼레로'를 연상케 하는 형식으로 같은 선율과 리듬이 계속해서 반복되며 점점 더 많은 악기가 가세하고 소리는 점점 커지고 클라이맥스에 이를 때까지 계속 거칠어진다. 이것은 소련으로 침공해오는 독일군을 나타낸 것이다. 결국 클라이맥스에서 독일군의 행진은 파국에 이르고 음악은 매우 비극적인 것으로 돌변한다. △제2악장 Moderato (poco allegretto) `Recollection' 멜로디가 유머러스하다. 중간에 타악기를 두들겨대면서 승리의 개가를 울리는 부분이 있다.

△제3악장 Adagio `The Open Spaces of the Homeland' 러시아적인 향취가 진하게 풍기는 비장한 음악으로 마지막에서는 매우 격렬하다. △제4악장 Allegro non troppo `Victory' 팀파니의 조용한 울림으로 시작하여 목관악기들이 모스 부호의 `V'를 나타내는 `다다다단-'으로 승리를 암시하고 나서 음악은 점점 휘몰아치는 듯하며 클라이맥스를 향해 서서히 상승한다. 클라이맥스에서는 휘몰아치는 격류 속에서 승리의 신호가 강렬하게 울려 퍼지며 승리의 노래가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그 후 분위기는 가라앉으면서 마지막에 최후의 승리를 외치며 찬란하게 곡이 끝난다.

■ 들을만한 음반 : 에프게니 므라빈스키(지휘), 레닌그라드 필(Melodyia, 1957); 키릴 콘드라신(지휘), 모스크바 필[Melodyia, 1975]; 레너드 번스타인(지휘), 시카고 심포니[DG, 1977]; 마리스 얀손스(지휘), 로얄 콘세르트헤보우[Chandos, 2006];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지휘), 상트페테르부르크 필[Decca, 1996]

오재원〈한양대구리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클래식이야기 전편은 〈필하모니아의 사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