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0:40 (금)
타인간 조혈모세포이식 생존율 88%로 끌어올려, 혈연간 수준
타인간 조혈모세포이식 생존율 88%로 끌어올려, 혈연간 수준
  • 김태용 기자
  • 승인 2011.04.26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난치성 질환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에서 타인간(비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5년 이상 장기생존율을 혈연간(형제간) 조혈모세포이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높이는 임상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원장·홍영선) 조혈모세포이식센터 이종욱·조병식 교수팀(혈액내과)은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의 비혈연간(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전 방사선치료 및 면역억제제의 독자적인 이식전 처치기법을 이용해 장기생존율을 88%로 높였다고 26일 밝혔다.

이종욱 교수팀은 2001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1차 면역치료에 실패한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전처치기법을 이용하여 비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했다.

이 교수팀이 개발한 전처치기법은 전신방사선조사(800 cGy)와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120mg/kg, 항암제)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이식 전에 실시한다. 그 결과 88%(50명 중 44명)에서 거부반응 없이 5년 이상의 장기생존율을 보인 것이다.

특히, 환자군의 대부분이 이식 성적에 불량한 인자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진단 후 3년 이상 지나 이식을 시행 받았으며(평균 48개월), 이식 전 수혈양이 평균 64 units로 많았던 것을 고려하면 굉장히 고무적인 결과다.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는 혈연(형제)간에 조직적합성항원(HLA)이 일치 시 조혈모세포이식으로 대부분 치료하며, 혈연이 아니더라도 조직적합성항원이 맞는 경우 비혈열간(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실시한다.

타인간(비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의 장기생존율은 40~60%로, 혈연간(형제간) 조혈모세포이식의 80~90%에 절반에 불가해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다. 비혈열간(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은 이식 후 거부반응 및 합병증 등으로 면역치료 후 실패하는 경우에 실시했다.

이번 연구는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에서 타인간(비혈연)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실시해도 형제(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과도 같은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종욱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조직적합성항원(HLA)이 일치하는 형제가 없는 경우 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받고자 하는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에게 큰 희망을 줄 수 있을 만한 우수한 성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 교수는 “환자와 조직적합성항원(HLA)이 일치하는 비혈연간 공여자가 있는 경우 새롭게 개발된 전처치 기법을 통해 조기에 이식을 한다면 더욱 많은 환자들이 완치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국내 재생불량성 빈혈의 유병률은 인구 100만명당 5.1명으로 유럽의 2명보다 2~3배 이상 높다.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는 혈연(형제)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통해 치료하지만 형제간에 조혈모세포의 조직적합성항원(HLA)이 일치할 확률은 25~30%다.

타인간(비혈열간) 조혈모세포이식은 1996년 국내 처음으로 시행된 이래 급성골수성백혈병(27.5%), 급성림프구성백혈병(23.4%), 만성골수성백혈병(21.5%), 중증재생불량성빈혈(12.4%), 골수이형성증(8.1%) 등 난치성 혈액질환 치료에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미국 조혈모세포이식학회의 공식 학술지이자 골수이식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 저널인‘미국 골수이식학회지(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2011년 1월호에 게재됐다.

김태용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