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7:59 (금)
위밴드 수술 부작용으로 위분문부 출혈 발생
위밴드 수술 부작용으로 위분문부 출혈 발생
  • 의사신문
  • 승인 2010.11.01 14: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달의 증례는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한 21세 여자 환자의 증례이다. 환자는 내원 1개월 전 체중감량을 위하여 복강경을 이용한 위밴드 수술(Laparoscopic adjustable gastric banding)을 시행 받았고 내원 전일부터 발생한 복부 통증과 발열, 흑색변 등의 증상 있어 본원 외래를 방문하였다.

▲ [그림 1-1] 위밴드수술로 형성된 분문부 주머니 모양의 구조에 관찰되는 혈괴로 덮힌 출혈 소견. [그림 1-2] 헤모클립을 이용한 지혈술 시행 후의 내시경 소견
방문하여 시행한 내시경검사 상 수술로 형성된 위 분문부의 주머니 모양의 구조 (a small proximal pouch) 부위에 출혈소견 (그림 1-1)이 관찰되어 이 부위에 헤모클립을 이용한 지혈술을 시행하였다.(그림 1-2)

▲ [그림 2-1] 복부 CT 상 관찰되는 밴드(점선 화살표) 및 혈괴(실선 화살표). [그림 2-2] 복부 CT 상 피하에 삽입된 도관을 따라 형성된 혈종과 농양
입원하여 시행한 복부 CT 결과 내시경상 출혈소견이 관찰되던 부위에 출혈 후 형성된 혈괴(그림 2-1, 실선 화살표)와 위 내부에는 혈종으로 생각되는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복강경하에 위의 분문부에 설치된 밴드(그림 2-1, 점선 화살표)와 주변의 부종이 관찰되었고 피하에 삽입된 도관을 따라 혈종과 농양이 형성된 것이 관찰되어 PPI 및 항생제 치료를 병행하여 시행하였다.

▲ [그림 3-1] Detachable snare를 이용한 지혈술 후의 내시경 소견. [그림 3-2] 마지막 지혈술 3일 후에 관찰한 내시경 소견. 환자는 이후 밴드 제거를 위하여 수술을 받은 병원으로 전원되었다.
내원 3일째 환자는 300cc 정도의 토혈을 하였고 다시 내시경을 시행하였다. 내시경상 지난 번에 지혈한 부위 아래 쪽으로 Band로 인해 형성된 주머니 모양의 구조와 위체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서 출혈소견이 관찰되었으나 내시경적 접근이 어려워 주머니와 위체부 사이의 틈새를 사이에 두고 양쪽을 헤모클립으로 집은 후 detachable snare를 이용하여 이 부위에 대한 지혈술을 시행하였다. (그림 3-1) 이후 환자는 더 이상의 출혈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고 마지막 지혈술 시행 3일 후 시행한 내시경 상에서도 더 이상의 출혈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림 3-2)

▲ [그림 4-1] 위분문부에 위치되는 밴드(검은색 화살표) , 식염수를 주입하는 피하에 위치하는 포트(하얀색 화살표).
복강경을 이용한 위밴드 수술(Laparoscopic adjustable gastric banding)은 1994년 Belachew 등에 의해 소개된 이후 전세계적으로 120,000예 이상이 시술된 가장 흔하게 시행되는 고도비만 수술 중의 하나이며 최근 국내에서도 비만 인구 증가와 함께 시행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위 밴드 수술은 복강경을 이용하여 식도 위 접합부 하방 2cm 정도 되는 부위에 실리콘 밴드를 위치시키고 복부 피하층에 위치하여 연결된 도관의 끝 부분에 달린 포트에 15ml의 식염수를 주입하거나 빼서 밴드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되어있어 식염수가 주입되면 밴드가 필링(filling)되어 음식 섭취량은 줄어들고 포만감을 빨리 느끼게 하여 비만을 치료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그림 4-1)

이 시술의 장점이 회복 속도가 빠르고 비교적 조작이 쉬운 수술이기는 하나 다양한 부작용 들이 보고되고 있다. 보고자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밴드로 인해 형성된 근위부 주머니 모양의 위가 확장되어 위식도 역류를 유발하거나 거대식도(megaesophagus)를 만들기도 하는 근위부 확장이 가장 흔한 빈도의 부작용이며 밴드의 위치가 이동하는 등의 부작용 및 본 증례의 환자에서 관찰되는 미란(Erosion)이 그 다음으로 흔히 관찰되는 부작용이다. 드물게 위내부로 밴드가 밀려들어와 내시경으로 밴드가 관찰되는 위내부 밴드 미란(Intragastric band erosion)의 증례들도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부작용들이 아직 보고되고 있지는 않으나 이후 시술이 증가하고 시술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시술 사례 및 부작용을 내시경 상으로 관찰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부작용을 궁극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밴드를 제거해야 하겠으나 출혈이 있는 응급적인 상황에서는 내시경적 지혈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수도 있겠다. 따라서 내시경의들도 이러한 시술 후의 변형된 위에 대한 소견 및 부작용에 대해 알고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내시경을 이용한 위 밴드 수술 후에 발생한 미란과 출혈

건국대학교병원 소화기병센터 이정현, 김병국, 심찬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